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중국 중관촌 창업대가의 창업 생태계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배셰태 2015. 3. 26. 05:25

[취재하이킥]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

주간조선 [2349호] 2015.03.23(월) 이동훈 기자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C02&nNewsNumb=002349100000

 

<중략>이미지

 

지난주 중국 베이징 중관촌(中關村)의 창업대가(創業大街)에서 느낀 것은 13억의 에너지였습니다. 중국 전역에서 온 젊은이들이 카페에 모여 노트북과 스마트폰 하나만 끼고 창업을 준비했습니다. 그 열기는 마카오와 싱가포르의 카지노에서 느꼈던 것과 흡사했습니다. 좋은 아이템 하나로 천하를 뒤흔들 수 있다는 자신감이었습니다.

 

<중략>

 

처쿠카페에서 문뜩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떠올랐습니다. 정부와 대기업이 힘을 합쳐 ‘창업자’를 키워낸다는 곳입니다. ‘정부와 대기업이 창업자를 키워낸다’는 발상 자체가 지극히 한국적이란 생각이 얼핏 들었습니다. 중관촌에서는 창업자와 개발자, 투자자가 스스로 모여 창업생태계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창업생태계가 자연스레 형성된 배경은 대학, 기업, 자본, 인재들이 중관촌이란 좁은 구역 안에 집중된 까닭입니다. 창업자들은 회사를 어디에 두고, 개발자와 투자자를 어디서 찾을지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중국 정부도 정책적 역량을 한곳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각 지방 도시마다 속속 들어서는 한국의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어떤가요. 마치 전국 곳곳에 정치적으로 남발된 경제자유구역과 같아 보입니다.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는 지난 3월 5일 정부공작보고에서 “13억 인구 가운데 9억명이 노동력 자원”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는 다른 말로 9억개의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뜻입니다. 이를 위한 가장 현실적 해결책은 ‘창업’입니다. 그 모범사례가 중관촌 창업대가입니다. 청년실업률 11.1%로 외환위기 이후 최고라는 한국도 창업이 절실하긴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한·중 양국의 접근법은 어찌 이리도 다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