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한국. 노인빈곤 OECD '최악'…연금소득은 '최하위권'

배셰태 2015. 3. 15. 07:49

한국 노인빈곤 OECD '최악'…연금소득은 '최하위권'

연합뉴스 2015.03.15(일) 국기헌 기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13/0200000000AKR20150313158200004.HTML

 

<중략>이미지

 

빈곤율 48.6%로 압도적으로 높아…연금 소득대체율 45.2%로 평균 이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지만 연금의 소득대체율(Net replacement rate)은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율 가처분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이하에 속하는 비율을 가리키며,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개인소득과 비교해 은퇴 후 받는 연금 수령액의 수준을 의미하는 지표로 세후 기준이다.

 

15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인의 빈곤과 연금의 소득대체율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인구가 급속도로 고령화되면서 2014년 기준으로 노동시장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5.1%(640만6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를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은 31.3%로 200만명을 웃돌았다.

 

<중략>

 

(단위 : %)

 

<중략>

 

(단위 : %) 

 

보고서를 집필한 김복순 책임연구원은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노인빈곤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면서 "고령층 근로자를 수용하는 노동시장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