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인빈곤 OECD '최악'…연금소득은 '최하위권'
연합뉴스 2015.03.15(일) 국기헌 기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13/0200000000AKR20150313158200004.HTML
<중략>이미지
빈곤율 48.6%로 압도적으로 높아…연금 소득대체율 45.2%로 평균 이하
고령화가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지만 연금의 소득대체율(Net replacement rate)은 최하위권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율은 가처분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중위 소득의 50% 이하에 속하는 비율을 가리키며,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은퇴 전 개인소득과 비교해 은퇴 후 받는 연금 수령액의 수준을 의미하는 지표로 세후 기준이다.
15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인의 빈곤과 연금의 소득대체율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인구가 급속도로 고령화되면서 2014년 기준으로 노동시장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5.1%(640만6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를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은 31.3%로 200만명을 웃돌았다.
<중략>
(단위 : %)
<중략>
(단위 : %)
보고서를 집필한 김복순 책임연구원은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노인빈곤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면서 "고령층 근로자를 수용하는 노동시장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인하에 부동산 시장, 9년만의 분양열풍… '떴다방'까지 다시 떴다 (0) | 2015.03.16 |
---|---|
[인공지능과 딥러닝] `일자리` 둘러싼 인간과 컴퓨터의 생존경쟁 (0) | 2015.03.15 |
향후 구직시장에서 가장 큰 경쟁자는 '타인'이 아닌 '로봇과 인공지능' 등이다 (0) | 2015.03.14 |
[한·중 FTA] 알리바바, 역직구 시장 삼킨다.. 한국에서 결제·물류 통합서비스 (0) | 2015.03.14 |
120세 장수시대,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의 개인적 책무 (0) | 201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