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덩이' 가계부채, 딜레마에 빠진 정부…다섯차례 대책 종합 정리
조선일보 2015.02.28(토) 이민우 기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2/27/2015022703481.html
총량 억제·구조 개선 '투트랙'‥LTV·DTI 완화 이후 급증세
작년말 1089조원 넘어 1100조원 근접‥한국 경제의 뇌관
정부, 경기 부양과 가계부채 대책 사이서 오락가락
조선비즈 금융부 이민우 기자입니다. 지난해말 가계부채가 1089조원을 넘어섰습니다. 갓 태어난 아이부터 노인까지 포함한 모든 국민이 약 2150만원씩 빚을 지고 있는 셈입니다. 올해 상반기중 가계부채 1100조원 돌파는 기정사실화된 상태입니다. 우리나라 경제가 가계부채의 시한폭탄을 지니고 있다는 말까지 나옵니다.
경제가 성장하고 활성화되는 과정에서 가계부채 증가는 불가피합니다. 온전히 자기 돈만으로 자동차도 사고 내집도 마련하기는 힘드니까요. 하지만 가계부채가 과도하게 많아지면 원리금 상환 부담에 소비가 위축돼 경제 활력이 떨어집니다. 최악의 시나리오는 대내외 경제환경 악화로 가계부채 부실이 급격히 늘면서 돈을 꿔준 금융회사들이 직격탄을 맞아 대혼란이 발생하는 겁니다.
정부는 지난 2011년부터 최근까지 급증하는 가계부채의 속도 조절과 구조 개선을 위해 다섯 차례 종합 대책을 내놨습니다. 그러나 가계부채 규모는 매년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습니다. 지난해 8월 부동산 금융규제인 LTV(주택담보인정비율)와 DTI(총부채상환비율) 완화 이후 가계부채 증가폭도 크게 늘어났습니다.
정부의 정책 목표는 무엇이었고, 왜 가계부채는 계속 증가하는 것일까요. 가계부채의 현황을 정리해 봤습니다.
◆ '뇌관' 가계부채의 위험성
지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가 세계를 강타했습니다. 미국 5대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했고, 메릴린치는 BOA(뱅크 오브 아메리카)에 헐값으로 매각됐습니다. 미국 최대 보험사인 AIG는 부도 직전 미국 정부가 고심 끝에 850억달러를 투입해 가까스로 살려냈습니다. 전 세계는 돈이 돌지 않아 신용경색에 몸살을 앓았고, 우리나라는 제2의 외환위기 직전까지 갔었습니다. 미국과 달러 통합스와프를 하지 않았다면 큰 일 날뻔 했었습니다.
리먼 사태의 진원지는 무분별한 주택담보대출이었습니다. 90년대 IT 호황으로 경제적 성장을 이룬 미국은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대폭 낮췄고 신용도가 가장 낮은 '서브 프라임' 계층에게도 과도한 대출이 이뤄졌습니다. 집 값이 계속 오를 때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2006년 금리 인상 등으로 원리금을 갚지 못해 손을 들어버리는 사례가 속출했습니다.
<중략>
2012년 8월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미국 서브프라임 사태 초기보다 높은 수준"이라며 "가계부채가 위험 수준에 도달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지난 23일 국회 업무보고에서 "가계부채가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큰 폭으로 늘어났다"며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 관련기사
연달아터지는 '서브프라임 폭탄'… 가계·기업까지 '빨간불' <2008.2.15>
코스피 18개월만에 1400하회…월가쇼크에 '주르르' <2008.9.16>
FT "韓 가계부채, 위험 수준" 조명 <2012.08.22>
◆ 5차례 정부대책…총량 억제·구조 개선에 초점
정부는 가계부채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최근 5년간 다섯 차례의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놨습니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은 두 가지 목표로 전개됐습니다. 하나는 가계부채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측면이었고, 다른 하나는 변동금리·일시상환 위주의 고위험 가계대출의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
<중략>
더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기사를 통해 읽으시길 바랍니다.
☞ 관련기사
정부, 2016년까지 은행 가계대출 30% 고정금리 전환 <2011.6.29>
금융위, 2금융권의 가계 대출도고삐 조인다 <2012.2.26>
빚 갚아주는 정부 올해 85만명 탕감 <2013.12.26>
고정금리·비거치분할대출 비중 2017년 40%로 확대…소득공제한도 늘려 <2014.2.27>
아킬레스건 '만기일시상환' 줄이기 시동 <2015.2.26>
◆ 경기 부양과 가계부채의 딜레마
<중략>
정부는 지난 26일 다섯번째 대책을 발표하면서 "현재의 가계부채가 전반적으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가계부채를 생각하면 잠이 안 온다"는 신제윤 금융위원장의 말이나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커져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이 총재의 발언이 우리나라 가계부채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게 아닐까요.
☞ 관련기사
2013년말 가계부채 1021조원...8년여만에 500조 급증 <2014.2.25>
2014년 은행 가계대출 40조 급증...증가폭 '사상최대' <2015.1.14>
'LTV·DTI 규제'가 집값에 어떻게 영향 미치나요? <2010.7.8>
기재부·한은 "가계부채 동향 우려…관리해야" 한목소리 <2014.11.21>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시장에서 `가계부채` 올해 들어 폭증세…위험수위 넘었다 (0) | 2015.03.01 |
---|---|
불황의 시대,중산층·서민은 빚 내서 집 사지 말고 돈 아껴 저축해야 산다 (0) | 2015.03.01 |
'세계 공장'에서 '세계 시장'으로...중국에서 뜨는 '신소비' 흐름을 타라 (0) | 2015.02.28 |
이제는 스마트폰 없이 살기 어려운 '포노 사피엔스'(Phono Sapiens) 시대 (0) | 2015.02.28 |
바이럴과 SNS를 연동해 블로그 등으로 유입시켜 시너지를 높이는 세 가지 비법 (0) | 201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