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빈 강정' 알뜰폰, 누적 적자 2000억 넘었다
전자신문 2015.02 23(월) 김용주기자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339196
지난해 알뜰폰 적자규모가 900억원에 이르는 등 누적 적자가 2000억원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알뜰폰이 가계 통신비 절감에 일익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적자가 계속되면 애초 기대한 통신비 인하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는 우려가 고조될 전망이다. 알뜰폰 활성화를 위한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강구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더할 것으로 예상된다.
23일 알뜰통신사업자협회(회장 이통형)에 따르면 지난해 28개 알뜰폰 사업자는 매출 6446억원, 영업적자 900억원을 기록했다. 알뜰폰을 공식 도입한 2011년 7월 이후 지난해까지 3년 6개월 동안 누적적자는 2600억원으로 늘었다.
적자는 대형 업체에 집중됐다. 총 가입자의 43%를 차지하는 CJ헬로비전, SK텔링크, KCT 3사는 매출 2481억원, 영업적자 553억원을 기록했다. 3사 적자규모는 전년(793억원)보다는 줄었지만 2012년(504억원)보다는 오히려 증가했다. 도매대가와 판매수수료 등의 마케팅비용 지출이 원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업체가 알뜰폰 시장 확대와 가계통신비 인하를 주도한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통신산업 원가구조상 가입자가 일정 수에 도달하는 규모의 경제를 이루지 못하면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알뜰폰 전체 가입자는 458만명으로, 이통시장 점유율 8.0%를 기록하며 사상 처음으로 8%대에 진입했다. 그러나 적자가 계속되면서 매출액 기준으로는 22조원에 달하는 이통시장의 3.0%에 불과했다. 몸집만 컸지 내실은 다지지 못한 ‘속 빈 강정’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리페이에 이어 텐센트도 내달 국내 핀테크 시장 진출 (0) | 2015.02.25 |
---|---|
구글 OS - 삼성전자 HW - 애플 자체생태계…모바일 결제 시장, 선점 경쟁 (0) | 2015.02.25 |
페이스북,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 부쩍 강화…1위 '유튜브' 맹추격 (0) | 2015.02.24 |
10분이면 OK...누구나 손쉽게 페이스북을 광고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0) | 2015.02.24 |
구글(안드로이드)-애플(아이오에스)-삼성전자(타이젠), OS 경쟁력 강화 (0) | 201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