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7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창조경제박람회’에 참석해 ‘3디(D) 가상 옷입기(피팅) 서비스’를 체험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창조경제혁신센터, 올 상반기 전국망 구축…기대반 우려반
한겨레 2015.01.09(금) 조계완 기자
http://m.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72774.html
‘한국판 구글 캠퍼스’ 될까, ‘대기업 확장’ 머무를까
<중략>
‘한국판 구글 캠퍼스’인가? ‘대기업 중심 생태계의 확장판’인가?
전국에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나고 있는 창조경제혁신센터의 효과를 둘러싸고 기대와 회의적 반응이 갈리고 있다. 창조경제혁신센터는 박근혜 정부가 출범 때부터 경제분야 혁신의 기치로 표방해 추진 중인 중소기업·벤처 발전 모델이다.
지난해 3월에 문을 연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비롯해 현재까지 전국 5곳에 센터가 마련됐다. 올 상반기 중 전국 17개 시·도 지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전부 문을 열 예정이다.
■ 전국 각 지역 총망라…민간자율형도 추가
지난해 12월 포스코가 주도하는 포항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민간자율형’ 센터로 포항공대 안에 문을 열었다. 전국 17개 시·도에 지역별로 센터를 둔다는 애초 계획과는 별도로, 정부(미래창조과학부)가 관여하지 않고 민간 대기업이 자율 운영하는 기업 특화형 첫 모델이다.
포스코 쪽은 “다른 곳들은 센터 운영을 정부가 주도하는 성격이 강한데, 포항공대와 지역 산업단지를 산·학·연으로 묶어 시너지 효과를 낼수 있다고 보고 우리가 자발적으로 만든 센터”라고 말했다. 18번째 센터가 된 셈으로, 미래부는 중앙·지방정부 주도형 외에 포스코 같은 민간주도형을 더 확산시킨다는 구상이다.
<중략>
창조경제혁신센터는 애초에 각 지역별 독립적인 혁신·창업거점으로 출발했으나, 실제 추진 과정에서는 각 지역 센터들간의 전국적인 협업 네트워크로 확장되고 있다. 그 배경엔, 각 지역의 특장과 필요를 해당 지역 전담 대기업이 가진 강점과 접목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는 당초 취지와 달리 현실적인 난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포스코처럼 민간주도형 늘리고
지역별 독립적 거점에서 나아가
전국적 협업 네트워크로 확장
지역별 전담 떠맡은 대기업들
“마땅한 사업 찾지 못해 골머리”
대기업이 기획·운영자금 주로 담당
중소·벤처 ‘하위 파트너 전락’ 우려
<중략>
■ 마땅한 아이템 골머리…여전히 대기업 생태계?
<중략>
‘창조경제’가 당초 “벤처·중소기업 생태계 조성”을 내걸고 출발했으나 대기업이 센터 기획·운영자금의 상당부분을 담당하면서 대기업이 영위해온 관련 사업에 중소·벤처가 여전히 하위 파트너로 참여하는 형태의 기존 대기업 중심 생태계로 흘러가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혁신센터가 ‘중기·벤처 중심의 창조’라는 취지에서 벗어나 상생·협력 구호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주도의 생태계를 더 확장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는 듯해 걱정스런 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과 공유경제`란 새로운 패러다임 (0) | 2015.01.12 |
---|---|
'우버, "공유경제' 보다는 '파괴자' 키워드가 적합 (0) | 2015.01.11 |
2014년 혁신을 통해 시장을 뒤흔든 우버와 공유경제 (0) | 2015.01.08 |
유통·배달·운송·부동산…공유경제의 우버와 같은 'O2O 서비스'가 생존 열쇠 (0) | 2015.01.07 |
[CES 2015] 자동차 산업 바꿀 4가지 변화...포드의 공유경제 (0) | 201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