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뚝에서 연기피며 야단 맞지않고 가장 우아하게 돈 버는 법 따로 있다,
인터넷 속 70억명을 공략하라!
인데일리 2014.12.16(화) 박영숙《미래는 어떻게 변해가는가》저자 /《유엔미래보고서2040》 저자 / 유엔미래포럼 대표
구글, 워렌 버펫, 빌 게이츠가 돈 버는 방법은 바로 미래를 읽는 법이다. 미래는 굴뚝산업이 아닌 우아한 산업 즉 인터넷 속에 경험, 기술, 지식을 올려서 버는 법이다. 이것이 TTP라는 플랫폼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내년 2월에 오픈하는 TTP는 이제 우리 모두를 교사, 교수, 전문가로 만들어 준다. 플랫폼에 내가 올린 정보, 지식, 경험, 영화, 비디오, 영상이 지구촌을 돌며 돈을 끌어모아준다.
사람들은 구글이 무엇으로 돈을 버는지 잘 모른다. 도대체 돈이 어디에 있어서 모토롤라를 14조원을 주고 샀는지 모른다. 구글은 뚜렷이 무슨 물건을 만들어서 파는 것이 아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래도 무엇을 만들어 파는지 대강 알 수 있다. 구글은 검색엔진 하나로 시작하였지만 사실은 투자사다. 미래에 될 듯한 기업에 투자하고 그 기업을 인수한다.
구글은 1주일에 평균 1개씩의 미래산업 관련 기술을 가진 기업을 인수한다. 현재 공식적으로 알려진 것은 180여개를 인수하였다. 구글은 하루에 수십 명의 기업가로부터 기술 관련 프레젠테이션을 듣는다. 그중에서 진정 미래기술인 것만 투자하거나 인수한다. 미래학자, 즉 테크 스카우터들을 고용하여 부상산업, 부상기술 수백 가지에 투자를 한다. MS는 현재 200여개의 기업을 인수하였고, 애플이 60개, 야후는 105개, 페이스북은 50개, 트위터는 30개를 인수하였다.
통상적으로 회사를 매입할 때 수조 원이 넘게 투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글은 네스트Nest를 3.2조원을 주고 매입하였고, 모토로라를 14조원 주고 매입하였고, 우버Uber를 4천억원에 구매하였다. 로봇회사로는 8개를 매입하였고, 드론회사를 여러 개 매입하였으며, 인공지능회사 등 많은 기업에 투자하거나 매입하였다.
<중략>
워런 버핏, 구글 등의 성공비결처럼 앞으로 돈을 크게 버는 방법은 실제로 공장을 지어서 한 가지를 생산하는 산업시대의 기업형태가 아니라, 미래에 크게 부상할 기술이나 산업에 투자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중략>
그러나 이제 산업시대는 지났다. 서비스산업시대도 지나갔다. 공장이나 가게하나 내는데 수억 수십억을 미리 넣고서 물건 만들어 10원 100원으로 내가 투자한 돈을 벌어내는 것이 너무 힘든다. 그래서 남들이 열심히 만들고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에 투자만 한다. 이런 “다 한다, 다 판다‘는 기업이 미래기업이며 조금도 부끄러워할 필요가 없다.
<중략>
유튜브나 훌루 같은 유명 사이트들은 사용자들이 등록한 디지털 콘텐츠를 통해 막대한 광고수익을 올리지만, 정작 콘텐츠를 제작한 개인 창작자들은 수익이 없는 것이 현실인데 이런 문제점을 개선해 모든 콘텐츠 창작자가 자신의 권익을 보호받아 정당한 권리를 행사하면서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세계 디지털 콘텐츠 유통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솔루션이 개발된 것이다. ‘TCI 기반의 콘텐츠 보호 기술’을 통해 이용자들은 영화, 드라마, 음반 등 각종 디지털 콘텐츠를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으며, 개인이 제작한 무료 콘텐츠는 업로드와 동시에 자동으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따로 신경 쓰지 않아도 저작권을 보호 받게 되며, 이용자들이 콘텐츠를 이용하면 저절로 수익이 발생한다. www.titipi.com
미래사회는 누구나다 교사 교수가 되고 누구나 다 자신의 경험, 기술, 지식을 파는 세상이 온다. ‘TCI 기반의 콘텐츠 보호 기술’을 통해 국내외 개인 창작자들은 본인의 콘텐츠가 2차, 3차 저작물로 무단 복제 또는 가공되는 것을 방지하며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되는 만큼 수익을 확보하여 좀 더 완성도있는 콘텐츠를 창작해 낼 수 있는 기반을 얻게 된다.
<중략>
4년 전 500억원대에 불과했던 국내 소셜커머스 시장은 올해 4조원대 규모로 추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창업 아이디어나 아이템만 존재하는 단계의 신생 기업을 발굴해 잘 성장시켜 국가발전에 기여하면서 동시에 투자자 자신도 이익을 얻는 제대로 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팅이 정착되길 기대한다. 미래에 가장 돈을 우아하게 벌 수 있는 방법은 인터넷시장이다. 현재 고객이 20억명이 있지만 2020년에는 70억명이 된다. 인터넷으로 무엇인가를 파는 것이 가장 우아하게 성공하는 길이다. 굴뚝에서 연기피우지 않고 돈 벌 수 있는 길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루블화 위기와 세계경제 새 질서 (0) | 2014.12.18 |
---|---|
러시아 모라토리엄 되면 2009년 버금가는 충격..한국경제도 긴장감 고조 (0) | 2014.12.18 |
2013년말 현재, 북한 1인당 국민총소득 138만원...남한의 21분의 1 (0) | 2014.12.17 |
제레미 리프킨, '공유경제 사회로 간다.. 물건 소유 보다 경험 공유가 더 중요' (0) | 2014.12.17 |
5G시대에는 공유경제가 활성화되고 사물인터넷이 활짝 꽃을 피우게 된다 (0) | 201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