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공유경제] 거세지는 우버퇴출 압박...택시업계,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 개최

배셰태 2014. 11. 18. 23:12

거세지는 우버퇴출 압박

디지털타임스 2014.11.18(화) 김지선 기자

http://m.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111802109931746004

 

택시업계 "생존 위협" 반발

정부와도 갈등 골 깊어져

 

전국택시노동조합 등 서울지역 택시 단체들은 18일 서울 시청앞 광장에서 '서울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었다. 택시조합 관계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불법 우버 서비스에 대해 정부가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면서 "우버, 콜밴 등 불법 유상운송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이날 참가자들이 우버 퇴출,렌터카 택시영업 중단 등을 촉구하고 있다. 김민수기자ultrartist@

 

차량 공유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가 '불법 퇴출' 압박에 택시 업체를 직접 연결해주는 전용 콜택시 서비스까지 내놨지만, 택시 업계 반발을 막지 못하고 있다. 현재 무료로 서비스하고 있는 일반 차량 공유인 '우버 엑스'를 유료로 전환할 할 경우, 우버 퇴출 압박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18일 전국택시노동조합 등 서울지역 택시 단체들은 서울 시청 앞 광장에서 '서울택시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택시조합 관계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택시 시장을 좀먹는 불법 우버 서비스에 정부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면서 "우버, 콜밴, 자가용 영업 등 불법 유상운송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집회에는 500여명의 서울 지역 택시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 우버와 택시 사업자 간 분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국내선 올해 들어 부쩍 심해지고 있다. 우버가 국내서 활동한 지 1년이 넘으면서 우버 이용자층이 생겨났고, 택시 업계가 이를 생존 위협으로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서울시와 국토교통부 등 정부 부처도 우버를 불법 운송 수단으로 규정지으면서 업계뿐 아니라 정부와 우버간 갈등의 골도 깊어지고 있다.

 

<중략>

 

이날 우버코리아는 택시조합 시위에 대해 성명문을 내고 택시업계 주장에 대해 반박했다. 우버코리아측은 "서울은 과거에만 머물러 스마트 기술력을 무시하는 택시조합에 억류돼선 안된다. 서울의 운전자, 승객, 아울러 정부는 더 나은 삶을 보장받아야 마땅하다"면서 "조만간 정부 관계자와 만나 서울의 공유경제 성공과 동시에 서울 택시 기사의 삶의질 향상에 우버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논의하는 자리를 갖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