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거주 가능한 ‘달 기지’ 3D프린터 건설
서울신문 2014.11.08(토) 이광식 통신원
지구 외의 천체에 최초의 인류가 거주할 기지가 지어질 전망이다.
유럽우주국(이하 ESA)은 7일(현지시간) 달에 사람이 거주하는 기지를 지을 것이며, 40년 내에 방문이 실현될 것으로 희망한다는 계획과 그에 관련한 비디오를 발표했다.
ESA가 밝힌 달 기지 건축 계획에 따르면, 최초의 공정은 로봇을 이용해 달의 토양으로 뒤덮은 두툼한 돔을 만드는 작업으로 예상된다. 돔 안에는 4명이 거주하며 작업할 수 있는 안전한 구조물이 들어서게 된다.
<중략>
ESA는 지구의 유일한 위성에다 영구적인 인류 정착시설을 만들기 위해 종합적인 포스터+파터너스(Forster+Partners) 건축팀을 구성할 예정이다.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40년 내에는 기지가 완성되어 사람들이 거주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자율 로봇을 이용해 3D 프린터로 세포 모양의 구조물이 만들어질 예정이며,그 안에는 4명이 거주할 공간이 마련되고, 운석과 감마선, 극심한 온도변화로부터 우주인들을 보호할 방호시설도 갖추어질 것이다.
ESA의 유인 우주비행팀의 스캇 호벌란드는 “3D프린터를 이용하면 지구로부터의 물자 조달 양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기지 건축에 필요한 물자의 90%는 달에 있으며, 다만 로봇들과 팽창식 덮개 같은 가벼운 자재들을 비롯해 견고한 연결물이나 기타 부품들만 지구에서 가져가면 된다.그리고 지구에서 제작되는 물품들은 튜브형 모듈에 넣어 로켓으로 달에 보낸다는 계획이다.
<중략>
3D 프린팅 전문가는 “먼저 산화 마그네슘으로 모조 달 물질을 만들어 낸 뒤 이것을 '종이'로 만들어 프린트를 할 것이다. 그 다음 '잉크'에 소금을 혼합하면 재료가 돌처럼 단단해진다”면서“현재 우리 프린터는 시간당 2m를 인쇄할 수 있다. 차세대 디자인은 시간당3.5m까지 가능해질 것이고, 그러면 일주일 안에 구조물이 완성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은희 의원 "2020년 '사물인터넷(IoT) 시장', 30조원 규모로 늘어날 것" (0) | 2014.11.08 |
---|---|
2015년, 모바일 혁명이 이끄는 옴니채널의 시대가 온다 (0) | 2014.11.08 |
[스크랩] 미래부 통신정책국장이 직접 알려주는 단말기 유통법 (0) | 2014.11.08 |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이어 피처폰도 샤오미에 밀려 중국 시장에서 2위 (0) | 2014.11.06 |
샤오미의 순이익, 작년 5,700억여 원 / 올해 1조 원 예상 (0) | 201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