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일본·유럽 등 전세계가 디플레이션 ‘늪’
재경일보 2014.11.06(목) 박성규 기자
http://m.jkn.co.kr/article/news/20141106/3811669.htm
<중략>
저물가로 한국을 비롯 전세계가 디플레이션 우려에 빠졌다. 올해 2분기 미국의 화폐 유통 속도는 1.5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물가 하락으로 이어져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8월 -0.2%, 9월 0.1%로 나타났다.
양적완화 종료로 연방준비제도(Fed)의 돈 풀기가 중단되면 디플레이션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은 최근 추가적인 양적완화를 단행했지만 고질적인 저물가를 당장 벗어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유로존의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보다 0.3% 오르는 데 그쳤다. 유럽중앙은행(ECB) 목표치인 2%에 한참 못 미친다. ECB의 '마이너스 금리' 결정도 유로존의 디플레이션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경제성장률이 7%대에 이르는 중국도 물가상승률은 2%대를 기록 중이다.
이런 세계적인 저물가의 원인에 대해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성장 방식의 변화 때문"이라며 "성장의 주체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바뀌면서 재화에 대한 수요가 줄고 원자재 공급은 늘면서 물가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경제의 극심한 디플레이션의 늪.. 러시아 '디폴트' 위기, 한국에도 불똥 (0) | 2014.11.06 |
---|---|
한국 경제전문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81% "디플레이션"68% 직면 (0) | 2014.11.06 |
한국, 디플레이션 공포 확산.."저성장의 늪 우려" (0) | 2014.11.06 |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 2년 연속 1%대..'디플레이션 '공포' (0) | 2014.11.06 |
[온라인 평판 관리 서비스] 새롭게 뜨는 직업, '디지털 장의사' (0) | 201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