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공동 창업자' 이택경 프라이머 대표의 쓴소리 "모바일 앱 시장 이미 포화상태"
한국경제 2014.10.27(월) 임근호 기자
"취업 어렵다고 창업하는 것은 명퇴 뒤 치킨집 여는 것과 같아"
자신이 만든 서비스가 차별점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의 답습인 경우 많아
창업 성공 확신 안 든다면 스타트업 가서 인턴 경험을
<중략>
“5년 전 한국에 아이폰3GS가 들어온 것을 계기로 ‘모바일’이란 기회가 생겨났고, 많은 스타트업이 기회를 잡았어요. 그런데 이제 그런 기회가 닫혀 간다는 느낌이 듭니다.”
서울 방배동 사무실에서 27일 만난 이택경 프라이머 대표(사진)는 “스마트폰 도입 초창기에는 기존에 있던 서비스를 모바일로 옮기기만 해도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었지만 그런 영역은 이제 일찍 창업한 스타트업이나 대기업이 모두 차지해 버렸다”며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B2C)는 점점 문이 닫히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다음커뮤니케이션 공동 창업자다. 연세대 컴퓨터공학과 4년 선배인 이재웅 씨와 함께 1995년 다음을 창업해 2008년까지 최고기술책임자(CTO)를 맡았다. 2010년 권도균 이니시스 창업자, 장병규 본엔젤스 대표 등과 함께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프라이머를 세워 젊은 창업가들을 길러내고 있다.
◆모바일 앱 시장 포화 경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 시장의 포화는 최근 스타트업 업계의 걱정거리다. 이 대표는 이런 상황 속에서도 끊임없이 비슷한 서비스가 개발되는 것에 대해 “창업자는 자신이 만든 서비스가 차별점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기존 서비스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경우가 많다”고 꼬집었다.
이어 “경쟁자가 없는 ‘블루오션’이라 판단해 뛰어들지만 이미 3~4년 전에 다른 스타트업이 도전해보고 전망이 없어 접은 영역인 곳도 많다”며 “창업을 결심했다면 철저하게 시장 조사를 하고 이전에 실패했던 스타트업을 찾아가 조언을 구하는 열성을 보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쓴소리는 이어졌다. 그는 분위기에 휩쓸려 창업하는 행태를 가장 경계했다. “취업이 안 된다고 남들 따라 창업하는 것은 퇴직자가 치킨집 차리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했다. 그는 “창업할 능력이 충분히 있는데 대기업에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창업을 말리고 싶은 사람도 여럿 봤다”며 “내가 창업에 적합한 사람인지 확신이 안 든다면 스타트업에서 몇 달간 인턴이라도 해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IoT에서 기회 찾아야
창업을 꿈꾼다면 단순히 모바일에만 기반을 둔 서비스보다 ‘사물인터넷(IoT)’이나 ‘오프라인 투 온라인(O2O)’ 등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아볼 것을 이 대표는 권했다. 그는 “IoT라고 하면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만 생각하는데 양식장에서 어종을 추적하고 분석하는 것처럼 산업 전반에 걸쳐 활용할 수 있다”며 “산업 현장이나 생활에서 IoT가 활용될 수 있는 아이템을 찾아볼 만하다”고 말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계, 기업, 국가 등 모든 경제 주체들의 위험수위 넘은 '빚 공화국' (0) | 2014.10.29 |
---|---|
가계(1,219조원)ㆍ기업(1,810)ㆍ국가부채(1,641) '감당할 수준' 넘어섰다 (0) | 2014.10.29 |
한국, 산업 샌드위치 탈출 전략은 ‘Fast(일본) & First(중국)’ (0) | 2014.10.27 |
샤오미의 승승장구 비결, R&D에 소비자 참여시켜 삼성전자 위협 (0) | 2014.10.27 |
중국에 쫓기는 한국 제조업, 애플·샤오미처럼 패러다임 전환으로 승부하라 (0) | 2014.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