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중국에 쫓기는 한국 제조업, 애플·샤오미처럼 패러다임 전환으로 승부하라

배세태 2014. 10. 27. 22:14

중국에 쫓기는 한국 제조업 "아이리버 교훈 되새겨야"(종합)

연합뉴스 2014.10.27(월) 이유진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은 27일 명동 은행회관에서 한국경제학회·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중국의 추격과 한국 제조업의 과제' 세미나를 개최했다. (사진 오른쪽부터 배상근 한국경제연구원 부원장,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이근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장) 2014.10.27 <<한경연 제공>>

 

애플·샤오미처럼 패러다임 전환으로 승부…"한국판 마윈 신화 만들어야"

 

한중간 제조업의 경쟁력 격차가 10년만에 11계단 차이에서 3계단 차이로 좁혀진 상황에서 한국 제조업이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려면 제품 성능보다는 패러다임 전환으로 승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7일 은행회관에서 한국경제학회·산업연구원과 공동으로 '중국의 추격과 한국 제조업의 과제'를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현재 한국은 중국의 기술력과 일본의 가격 경쟁력에 쫓기고 있다. 과학기술 경쟁력은 미국에 4.7년 뒤처지고, 중국에는 1.9년 앞설 따름이다. 한국·중국의 제조업 경쟁력 순위는 2000년 11계단 차이에서 2010년 3계단으로 바짝 좁혀졌다.

 

<중략>

 

이근 교수는 "한국 기업인 아이리버가 MP3를 세계 최초로 발명했지만 최종 승자는 아이튠즈를 활용한 애플의 아이팟"이라면서 "제품 판매보다 서비스 판매로 경영 전략의 중심축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삼성을 압도한 샤오미 역시 "스마트폰 기기는 싼값에 넘기고 소프트웨어나 응용 애플리케이션 등 부가서비스에서 매출을 올리는 패러다임을 시도하고 있다"고 이 교수는 설명했다.

 

샤오미보다 오랜 된 중국 업체 화웨이는 삼성처럼 기술력에 기초한 제품 성능을 중시했지만 결국 삼성을 누른 곳은 화웨이가 아닌 샤오미였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우리 기업에 진짜 위협은 같은 방법으로 경쟁하려는 후발 기업이 아니라 다른 패러다임을 들고 나오는 후발자"라고 지적했다.

 

<중략>

 

백윤석 교수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馬雲)에 대한 중국의 기업신화 드라이브 정책처럼 우리도 새로운 신화에 도전하는 중소창업기업인과 스타전문경영인들을 발굴해 지원하는 심리적 산업정책을 펼 것"을 주문하기도 했다.

 

<중략>

 

한편 서동혁 연구위원은 중국의 급부상으로 5년내 조선·석유화학·통신기기·디스플레이 부문에서 고전이 예상되고, 일반기계·반도체 부문에서도 우위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세계 1위인 조선은 2위로 하락할 전망이다. 2018년에도 한국이 중국에 앞설 것으로 보이는 산업은 자동차 정도다.

 

김정식 한국경제학회장은 "조선, 철강, 석유화학 분야에서 경쟁력 약화가 가시화되고 있고 최근 전자산업에서도 중국의 추격이 속도를 내고 있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권태신 한국경제연구원장도 "최근 제조업이 엔저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일본과 기술력을 높여 추격하는 중국 사이에 낀 샌드위치 형국"이라며 "이 위기를 극복하는 것이 우리경제가 저성장을 탈피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