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IoT기반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 대비해야"
디지털타임스 2014.10.15(수) 김수연기자
제러미 리프킨 교수 기조연설
"한계비용 0, 에너지 공유 가능"
세계적 미래학자인 제레미 리프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가 15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산업통상부가 주최한 '2014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 포럼에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리프킨 교수는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한국은 통신과 에너지, 수송 분야의 기반시설을 크게 변혁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2014 대한민국 에너지대전
"한국은 누구나 에너지를 생산·소비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에 대비해야 합니다."
14일부터 16일까지 삼성동 코엑스에서 진행되는 '2014 대한민국에너지대전'의 포럼 기조연설자로 방한한 세계적 경제·미래학자 제레미 리프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교수는 15일 한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이날 리프킨 교수는 "원유가가 배럴당 147달러로 치솟아 그 여파로 세계 금융시장이 붕괴됐던 2008년을 기점으로 화석연료에 의지해 번성을 지속할 수 있었던 시대가 끝이 났다"며 "한 시대가 지나가고 지금은 사물인터넷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통신, 수송, 에너지 기술이 융·복합되고 디지털화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물류센터와 유통현장, 스마트 가전 등에 활용되는 인터넷 연결 센서를 통해 사물 간 통신이 가능해지는 등 사물인터넷 시대가 현실화되고 있으며, 오는 2030년이 되면 전세계 100조개의 센서를 통해 인류가 실시간 인터넷에 연결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환경이 열리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사물인터넷 환경이 진화할수록 한계비용(물건을 하나 더 만들 때 드는 추가 생산비용)이 '0'에 가까워지게 돼,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무료로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리프킨 교수는 이렇게 '한계비용 0'이 가능한 경제 체제를 '협력적 공유경제'로 정의하고 그 단적인 예로 유튜브를 통해 전세계 10억여명에게 공개된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예시했다.
그는 "싸이는 비용을 전혀 들이지 않고 유튜브를 통해 자신의 음악을 제공했는데 이것이 바로 '한계비용 0' 현상과 공유경제의 가장 대표적 사례"라며 "이런 환경에서는 음반사 등 과거 패러다임에 묶인 업종은 사양화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한계비용 0' 현상이 음악 콘텐츠뿐 아니라 에너지 부문에서도 가능해지는 게 리프킨이 예측하는 미래사회다.그는 "신재생에너지, 사물인터넷 기술에 기반해 누구나 에너지를 생산·소비하고 개인이 쓸 에너지를 스스로 생산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가 오고 있다"며 "이것은 제3차 산업혁명이며, 정부는 개인이 프로슈머로서 태양광, 태양열, 지열 발전 시스템 등을 설치할 때 지원을 해줌으로써 개인들이 에너지 시장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리프킨 교수는 "현재 독일과 중국이 새로운 시대에 발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이러한 지원을 줄여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는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며 "정부는 지원할 돈이 없다고 말하지만, 원자력발전소 건설 등 기존 에너지 시스템을 고치는 데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니까 돈이 없다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한국 정부가 원자력발전 건설 등 기존 에너지 시스템에 투자하기보다 사물인터넷과 신재생에너지를 두 축으로 하는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비하기 위해 투자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한편 제러미 리프킨은 이날 오전 진행된 '2014 대한민국에너지대전' 포럼 기조연설을 통해 사물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통신·수송·에너지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결합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이 극대화되고 에너지·재화 생산 시 '한계비용이 0'을 실현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발표했다. 이는 그의 최근 저서 '한계효용 제로 사회:사물인터넷(IoT)과 자본주의 미래'에 담긴 내용이기도 하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5회 세계지식포럼] '세계 경제의 새로운 태동`을 향한 해법..10대 메시지 (0) | 2014.10.21 |
---|---|
[제15회 세계지식포럼] '교육의 미래'...전세계가 음악 감상하듯 유명강좌 듣는다 (0) | 2014.10.21 |
[스크랩] [이색직업39편]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대행해주는 비서관, `기업컨시어지` (0) | 2014.10.21 |
청년의 좋은 일자리 기준...고정관념 깨는 사회인식 형성해야 (0) | 2014.10.21 |
노인 일터, 아파트 경비원의 서글픔을 달래주자 (0) | 2014.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