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회 세계지식포럼 10대 메시지
매일경제 2014.10.17(금) 최용성 기자 / 김병호 기자
http://m.mk.co.kr/news/headline/2014/1324664
◆ 세계지식포럼 ◆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 하토야먀 유키오 전 일본 총리,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 등 세계적 리더와 석학들이 대거 참석한 제15회 세계지식포럼이 16일 폐막했다. `세계 경제의 새로운 태동`을 향한 이들의 해법을 10대 메시지로 정리했다.
① 원아시아 한국이 주도
니콜라 사르코지 전 프랑스 대통령은 이번 세계지식포럼 기조연설에서 아시아가 갈등을 넘어 평화와 번영을 이루기 위해서는 유럽 사례에서 보듯 `원아시아` 통합을 이뤄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이 통합 과정에 한국이 적극적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역 통합이 역내 전쟁과 같은 극단적인 갈등에 대한 유일한 해법이라고 제시했다.
② 재정확대가 성장 해법
세계 경제 석학들은 위기의 세계 경제 원인을 3P로 진단했다. △과도한 긴축에 따른 정책(Policy) 실패 △일자리와 노동인력(Population) 감소 △지정학적 위기를 상징하는 푸티니즘(Putinism)을 말한다. 이 함정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석학들은 각국 정부가 재정 확대에서 성장 모멘텀을 찾고, 여성 인력을 적극 활용할 것을 강조했다.
③ 매스마켓이 사라진다
대량 생산과 대량 판매로 자본주의 번영의 시대를 열었던 매스마켓은 곧 종말을 고한다. 고객은 이제 `대중`이 아니라 `개인`이다. 인터넷과 모바일은 기존 전통산업 모델을 파괴하는 혁신적 제품과 서비스를 속속 선보일 것이다. 구글 같은 새로운 파괴자들이 등장해 개인 맞춤형 생산 체제와 유통 시스템으로 매스마켓을 사라지게 할 것이다.
④ 사물인터넷은 기회다
앤드루 맥아피 미국 MIT 수석연구원은 급속한 기술 발전이 빈부 격차를 키우고, 중산층을 몰락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러미 리프킨 미국 경제동향연구소(FOET) 소장은 "기술 발전과 협력적 공유경제가 자본주의를 대체할 것"이라며 "한국은 사물인터넷(IoT) 선진국 조건을 갖추고 있어 이를 선도할 체계를 만들어 세계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⑤ 차이나리스크 대비를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세계 경제에 가장 큰 걱정거리는 중국"이라며 "신흥국가들이 연쇄적으로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리이닝 베이징대 광화학원 명예원장은 "중국 경제성장률이 당분간 6~7%에 머물겠지만 이는 경기 둔화가 아니라 체력을 만드는 과정"이라고 주장했다.
⑥ 재난리더십은 명령보다 협업
<중략>
⑦ 창업 패자부활 기회줘야
창조경제가 성공하려면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글로벌 마인드를 갖춰야 한다. 이갈 에를리흐 요즈마그룹 회장은 매년 500개 이상의 벤처기업이 생겨나는 이스라엘을 예로 들며 "한국은 근면 성실하고 교육 수준이 높아 이스라엘과 비슷한 인적 자원을 가지고 있다"며 "이스라엘식 벤처 생태계가 한국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⑧ 온라인교육이 신성장동력
온라인 교육이 개발도상국들의 신성장동력이 될 것이다. `집단지성이란 무엇인가`의 저자 찰스 리드비터는 "교육에서 기술의 활용은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며 "많은 신흥국에서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칼 빌트 전 스웨덴 총리도 인도와 같은 신흥국에서 온라인 교육의 파급력이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
⑨ `행복경제` 패러다임 찾아야
지그메 틴레이 전 부탄 총리는 경제성장의 관점을 전환할 것을 제안했다. 행복을 기준으로 경제성장을 평가하는 경제지수 국민행복지수(GNH)를 만들어 부탄에 도입한 그는 "국내총생산(GDP) 기반의 경제 모델로 인간은 가장 중요한 본질인 행복을 놓치고 말았다"며 "이제 세계는 행복에 기반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⑩ 포용ㆍ나눔의 리더십 키워라
한국 역사 속 여성 리더십은 상생을 도모하는 포용력을 갖고 있었다. 사랑과 배려로 주위를 보살피는 나눔의 리더십도 한국 여성의 가치다. 이배용 한국학중앙연구원장은 "지금은 감성(Feeling) 상상력(Fiction) 여성(Female)이 중요한 3F 시대"라며 "남성과 여성이 공존하는 평등사회를 만드는 길이 한국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개발연구원(KDI) ‘교육거품의 형성과 노동시장 분석’ 보고서 (0) | 2014.10.22 |
---|---|
국가직 9급 공무원 여성합격자 49% '사상 최고' (0) | 2014.10.21 |
[제15회 세계지식포럼] '교육의 미래'...전세계가 음악 감상하듯 유명강좌 듣는다 (0) | 2014.10.21 |
제레미 리프킨 "한국, 사물인터넷기반 에너지 프로슈머 시대 대비해야" (0) | 2014.10.21 |
[스크랩] [이색직업39편] 기업이 원하는 서비스를 대행해주는 비서관, `기업컨시어지`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