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투데이 2014 09.11(목) 추정남 기자
<중략>
누가 스마트폰 시장에서 마지막에 웃을 수 있을까? ‘기술 혁신’이 끝난 스마트폰 시장에 각 사가 ‘전략 혁신’카드를 들고 나왔다. 구글은 마켓 쉐어 대신 이용자수 늘리기에 주력하고 애플은 ‘혁신’을 버리고 마케팅에 방점을 찍었다. 레노버와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은 삼성과 애플이 가지고 있는 보급형 시장 마켓 가져오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1일 구글의 ‘프로젝트 아라’를 설명하면서 “구글이 부품값도 안되는 50달러짜리 스마트폰을 팔아 취하려고 하는 것은 광고수익”이라며 “구글의 목표는 마켓 쉐어가 아닌 인터넷 사용자수”라고 보도했다. 즉 스마트폰을 보급해 광고 업무를 하기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는 이야기다.
이를 위해 구글은 아프리카와 인도 등 신흥국가를 위주로 자사 스마트폰을 마케팅하고 있다. 최근 구글이 무인비행기를 생산하는 회사인 타이탄을 인수한 것도 이를 통해 아프리카 지역에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었다.
구글이 공간 3D 식별 기술, 스마트 워치, 인공위성, 로봇, 유전 분석분야 회사들을 인수 하는 것도 인터넷 사용자수를 늘리거나 광고 수익을 위한 기술 습득을 위한 것에 목적이 있다.
9일 새 아이폰6와 6플러스를 발표한 애플은 스티브 잡스가 중시했던 ‘기술 혁신’대신 럭셔리 마케팅에 영업 방점을 찍었다.
<중략>
중국 시장에서 저가 폰으로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들은 중국의 보급형 폰 시장을 장악한 후 인구가 많고 물가가 낮은 인도 등 신흥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스마트폰 중 가장 만저 중국 대륙을 접수한 샤오미는 인도 시장 진출을 2번째 목표로 지정했다.
<중략>
레노버는 샤오미가 해외시장에 눈을 돌린 틈을 타 중국 핸드폰 판매량 1위에 올라섰다.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2분기 가격대별 스마트폰 판매량 집계 결과, 저가시장에서 레노버가 삼성전자에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고 이날 발표했다.
저가 시장은 수익에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미치지만, 스마트폰 시장 순위가 판매량을 기준으로 하는 만큼 브랜드 인지도 면에서 무척 중요한 시장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파법 12월 시행…샤오미 해외직구도 전파인증 꼭 받아야 (0) | 2014.09.12 |
---|---|
샤오미를 키운 '고객가치 실현' (0) | 2014.09.11 |
단말기 유통법 시행되면, 오프라인 이동통신 유통매장 대부분 폐업한다 (0) | 2014.09.11 |
'차이플(차이나+애플) 쇼크'… 비상벨 울린 한국 IT (0) | 2014.09.11 |
애플·샤오미와 '두개의 전쟁' 치르는 삼성전자 (0) | 2014.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