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2014.08.11(월) 박권일 칼럼니스트
낙수효과론이란 게 있었다. 부자들이 많이 벌어야 그 돈이 흘러 내려와 사회 전체로 분배되고 경제도 성장한다는 논리다. 우파 경제학자들의 신줏단지였던 이 가설은 이제 명실상부 도시전설이 됐다. 진지하게 주장하면 바보취급 당한단 소리다. 피케티의 <21세기 자본>을 인용할 것도 없다. ‘같은 편’이라 할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조차 최신 보고서에서 “심한 불평등이 성장의 장애물”임을 인정하고 있다.
경제의 낙수효과는 고장임이 밝혀졌지만 다른 영역의 낙수효과는 여전히, 날이 갈수록 잘 작동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것은 점도 높은 액체처럼 뭉글뭉글 흘러 내려와 낮은 곳을 남김없이 덮으며 쏟아진다. 사회를 온통 적시고 있는 그것은 자본이 아니라 어떤 감정이다. ‘증오’라 이름 붙은, 우리들에게 아주 친숙하고 불편한 정서.
<중략>
학교나 직장에서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집단 따돌림도 넓은 의미에서 증오범죄의 일종이다. 윤 일병 사건, 임 병장 사건 역시 군대 내의 우발적 사고가 아니라 구조적 요인을 지닌 증오범죄라고 봐야 한다. 이 끔찍한 비극을 추동했던 동기는 명백하게도 혐오, 증오, 모멸과 같은 감정들이었다. 물론 구조가 어떻든 가해자의 책임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군대라는 ‘폭력의 맷돌’에 끼인 약자들 사이에서 가장 잔인한 형태의 폭력이 이렇듯 빈번히 출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증오범죄의 확산을 막기 위해 한국 상황에 맞는 제도적 대응책이 나와야 할 시점이다. 인권 감수성을 북돋기 위한 사회적 지원도 필수적이다. 그러나 근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승자독식이 철저히 관철되는 한편 패자부활이 어지간해선 용납되지 않을 때, 낙오에 대한 공포는 팽팽히 부풀어 오를 수밖에 없다. 그 공포는 약자와 자신을 구분하려는 강한 욕망을 만들어낸다. 가장 쉬운 방법은 바로 증오하기, 혐오하기다. 해서 증오범죄는 줄어들기 어렵다. 사회는 응집력을 잃고 허물어지다가 끝내 파국에 이를 것이다. 그건 지배 관계가 일거에 뒤집히는 혁명이 아니다. ‘설국열차의 꼬리칸’부터 떨어져 나가는, 즉 가장 약한 사람들부터 소멸하는 잔혹한 몰락이다.
증오의 낙수효과는 왜 이렇게 잘 작동하는가? 이 물음에 대한 포괄적 대답은 놀랍게도 ‘경제의 낙수효과는 왜 작동하지 않는가?’의 그것과 일치한다. 답은 ‘극단적 불평등’이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력의 악순환] 차이를 인정하는 인간 존중의 씨앗을 뿌리자 (0) | 2014.08.14 |
---|---|
한국경제 이미 ‘잃어버린 17년’…경제규모 4단계 하락 (0) | 2014.08.14 |
[120세 장수시대] 인생 이모작, 자신을 당당하게 표현하라 (0) | 2014.08.13 |
골프가 `사양 산업'이 된 3가지 이유 (0) | 2014.08.10 |
미래부, 공공데이터 263종 개방…연내 73종 추가 (0) | 201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