씽즈 사피엔스(Things Sapiens, Appsratus Sapiens) 시대의 자화상
1930년대 경제 대공황은 농업경제에서 산업경제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시기에 발생한 것이다. 현재의 경제 대침체는 생산·지식경제에서 창조경제로 패러다임이 전환하는 시기에 발생하고 있다. - 조셉 스티글리츠 / 2010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비즈니스의 방식 자체가 바뀐다
사물인터넷(IoT)은 사람과 사물 사이에서, 또 사물과 사물 사이에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사물인터넷 센서들은 기존의 빅데이터를 '덩치가 더욱 큰(Bigger)' 데이터로 만들 것입니다.사물인터넷 시대가 본격화되면 빅데이터에 대한 접근 방식에 대한 고민이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2009년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의 상공을 정찰한 미국의 무인정찰기 드론은 무려 24년을 꼬박 봐야 다 볼 수 있는 영상 데이터를 수집했습니다. 이제 문제는 이런 막대한 데이터 더미에서 과연 "어떤 유의미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것인가" 에 달려 있습니다. 아무 계획 없이 수집된 데이터는 에네지 낭비일 뿐입니다. 이른바, 데이터 과학자가 전면에 등장하는 시기가 오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초창기는 우리의 일상과 일터에 센서가 깔리는 시기입니다. 그때까지 사물인터넷 시장에 들어온 다양한 영역의 사업자들은 서비스 표준화 경쟁 및 플랫폼 장악 다툼을 펼칠 것입니다. 이 단계에서 사물들은 아직 사람들의 직접적인 컨트롤을 받습니다.시장분석 업체 가트너도 2018년까지는 스마트 전구, 스마트 토이, 스마트 공 등 스마트 개체들의 20%가 스마트폰과 직접 연결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이후 센서가 늘어나고 사물들이 자기 수준에서 스스로 판단(인식 후 반응)하는 것이 가능한 단계가 되면 플랫폼을 장악한 업체들은 사람들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획득하게 됩니다.
사물인터넷(IoT)이 '씽즈 사피엔스'가 되면, 비즈니스 방식 자체가 바뀌게 됩니다. 통계학자 요시다 코사쿠는 "데이터 과학자는 이제까지 제조업의 품질 관리나 마케팅 영역에서 활동해 왔지만, 인터넷 시대가 열리고 개인의 해동 이력이나 상품의 움직임을 더 쉽게 분석할 수 있게 되면서 새로이 주모받고 있다" 고 말했습니다. 1990년대에 가장 유망한 직종으로 '정보검색사'가 선정됐던 것을 떠올리면, 시대는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20세기 이래 더 많이 생산하기 위해 가장 필요했던 것은 더 많은 소비였습니다. 그 결과, 20세기 초에 할부를 포함한 신용제도가 크게 발전했고 광고를 포함한 마케팅 기법도 발달했습니다. 사물인터넷 이전 시대에는 이처럼 '주입식' 소비 행태가 큰 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생산이 먼저였고 소비는 그다음이었습니다. 더 많은 소비를 장려하기 위해서는 빚의 권유저 마다하지 않았습니다.
현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는 맞춤형 광고 수준에 머물르고 있습니다. 미국 통신사가 도입한 한 옥외광고판은 그 길을 지나다니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사에 따라 수시로 변합니다. 기존에 수집해놓은 사람들의 정보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씽즈 사피엔스 시대의 지배적 기업들은 우리가 정말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귀납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빅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과학자는 곧 상품기획자가 될 수 있습니다.
씽즈 사피엔스 시대에는 사람이 언제 불편함을 느끼는지, 또 어떤 것이 개선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지 정확히 파악한 다음 상품과 서비스가 만들어집니다. 그러므로 데이터 과학자는 가장 창조적인 직업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기존 상품이 추상적으로 트랜드를 파악한 다음 사람들에게 마케팅을 하는 것이라면, 데이터 과학자가 만든 상품은 정확한 시나리오를 토대로 나온 창조적인 작품입니다.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한 상위 10개 창조성 직업 중에는 컴퓨터 하드웨어 기술자 및 연구자, 조사 전문가, 상품기획 전문가 등이 들어 있는데, 이는 나중에 모두 하나의 직업으로 통합될 것입니다.
출처 : 커넥팅랩, 《사물인터넷 :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뛰어넘는 거대한 연결》미래의창, 2014.06.25 발간
http://blog.daum.net/bstaebst/12568...일부 발췌 각색
배세태의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안경으로 외과의사들 훈련 시키는 새로운 어플 나와 (0) | 2014.08.07 |
---|---|
[삼성·LG·SK..대기업 오너까지 나서 人材확보 전쟁] 급구! 실리콘밸리 천재들 (0) | 2014.08.07 |
한국 스마트워크 도입률 고작 0.7%. 네덜란드 50%,미국 일본은 11% (0) | 2014.08.04 |
실업급여 수급자 2명 중 1명 '취업알선 필요' (0) | 2014.08.03 |
로봇과 함께 사는 시대는 이제 더 이상 먼 미래의 일이 아니다 (0) | 2014.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