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이 공유경제의 대표적 사례로 꼽혔다.
미국 경제매체 포브스는 25일(현지시간) ‘서울이 어떻게 공유경제의 주요도시가 됐는가?’라는 기사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포브스 칼럼니스트 페데리코 귀리니는 서울이 세계적인 정보기술(IT) 인프라를 바탕으로 빈 주차 공간을 예약하는 앱, 온라인으로 아동 의류를 교환하는 공유기업 ‘키플’, 1인 가구를 위한 소셜 다이닝 ‘집밥’ 등을 소개했다.
그는 또 서울시가 안고 있는 사회적 문제 때문에 공유경제가 발달 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우선 서울은 전체 인구 4명중 1명이 1인가구다. 인구 1000만명을 돌파한 서울은 인구밀도가 뉴욕보다 5배가 높다.
청년 실업률이 다른 계층과 비교해 높은 점과 서울 시민들이 평소 환경오염에 시달리고 있는 점도 공유경제가 관심을 모으는 요인중 하나다.
귀리니는 서울 시민들이 한정된 자원으로 공존해 나갈수 있는 방법으로 자본을 공유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의 전통 협동 노동 방식 ‘품앗이’를 거론하며 한국 민족이 가진 특유의 상부상조 정신도 언급했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관련,랜더 벨로키 몬드라곤대학 경영대학장 인터뷰 (0) | 2014.05.28 |
---|---|
부산시, 상상을 현실로… 창조경제 싹 틔운다 (0) | 2014.05.27 |
한국, 협동조합 성공하려면 국회가 법적 토대 마련해야 한다 (0) | 2014.05.27 |
현오석 부총리 "창조경제혁신센터 내년 상반기까지 전국 17개 시도에 구축" (0) | 2014.05.26 |
공유경제, 나눔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다 (0) | 2014.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