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6·4 지방선거…‘사회적경제’ 바람이 분다-이현숙 한겨레경제연구소(HERI) 소장

배셰태 2014. 3. 25. 21:22

 

6·4 지방선거…‘사회적경제’ 바람이 분다
한겨레신문 2014.03.25(화)

 

[HREI 리뷰] 

외부자원 유입 개발 공약 대신
지역내 생산-소비 선순환으로
매니페스토실천협의회 닻올려
전국서 주요 이슈로 내세울 듯

 

민주주의가 진정으로 이뤄지는 곳은 워싱턴의 의회가 아니라 지역이다. 자신이 속한 지역을 바른 모습으로 바꿀 힘이 있다는 것을 깨달은 보통의 사람들 손에서 민주주의가 시작된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첫 직업인 ‘지역사회 조직자’(community organizer) 활동에서 배운 점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그의 말에서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천이 이뤄지는 지역의 중요성을 새삼 확인할 수 있다.

 

6·4 지방선거가 70일 앞으로 다가왔다. 현직 단체장과 의원, 그리고 이들에게 도전하는 많은 사람이 다양한 정책을 놓고 유권자에게 한 표를 호소할 것이다. 무엇보다 어느 후보가 좀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지역활성화 정책을 내놓는지에 따라 유권자의 표심이 갈릴 것이다.

 

여야 모두 필요성에 공감, 정책 준비

 

그동안 출마자들은 대기업 공장이나 국책사업 유치, 뉴타운처럼 외부자원을 끌어들이는 공약을 주로 제시했다. 하지만 이런 정책은 겉은 화려했는지 몰라도 지역 주민의 삶에는 그다지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오히려 환경오염, 공동체 파괴, 지역자원 유출 등 부작용을 낳은 일이 많았다. 생산, 소비가 지역 내 선순환하지 않은 지역정책의 한계는 뚜렷했다.

 

이런 경험을 한 뒤라 지역사회 발전과 지역 내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천적 모델로 사회적 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자활기업같이 주민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찾아 해결책을 모색하며, 주민 간의 연대를 강화하는 사회적 경제 조직을 지원하는 정책에 관심이 늘고 있다.

 

<중략>

 

전문가들이 꼽는 바람직한 공약 4가지 방향

 

실천협의회 참여 사회적 경제 전문가들은 사회적 경제 정책과 공약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4가지를 꼽았다. 첫째, 시민사회 영역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우선 사회적 경제 관련 인재를 찾아내고 키울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지역의 잠재 역량과 자원을 사회적 경제 틀 속에서 엮어낼 수 있는 장기적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둘째, 민관협력의 거버넌스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의견 수렴뿐 아니라 정책 수립과 실행에 이르기까지 민관이 협력하는 틀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지역의 특성에 맞는 고유의 지역발전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 각 지역의 사회적 경제 모델은 그 지역의 경제·사회·문화·역사적 배경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 넷째, 사회적 경제의 전략적 지원조직을 만들어 가야 한다. 정책 연구, 교육, 지역프로젝트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의 전문 지원기관을 설립하거나 지역내 기관과의 협력적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이번 6·4 지방선거는 사회적 경제가 우리 사회의 한 축을 담당하는 건강한 모델로 공식 인정받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사회적 경제 생태계 조성이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작은 성공의 경험을 쌓아나가야 한다.

 

..이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