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 2014.03.03(월)
부산시는 사물을 입체로 출력할 수 있는 3D 프린터를 창조경제에 접목해 3D 프린터 R&D 기획사업 유치 등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발전연구원은 3일 BDI 포커스 ‘3D 프린터 부상과 창조경제 접목방안’ 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3D 프린터 시대에서의 부산시의 대응과제를 제시했다.
3D 프린팅 기술은 기존 제조업에 IT기술이 접목된 융합 신기술 영역이다. 지난연말 3D 프린터로 만든 총기가 실제 인명을 살상할 수 있을 정도라는 보도 이후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보고서를 작성한 최윤찬 연구위원은 “3D 프린터는 전문가들 사이에 3차 산업혁명 도구, 인터넷에 대응하는 발명품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IT기술의 발달로 저가품이 시중에 등장하면서 3D 프린터는 산업계에서 상당한 연구와 응용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항공우주·자동차·의료·건축·생활용품·인쇄물 등으로 응용범위가 확장되고 있어 산업과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즈마와 창조경제-박순빈 한겨레 논설위원 (0) | 2014.03.05 |
---|---|
왜, 하필 협동조합인가?-박세기 울산광역시협동조합연합회 회장 (0) | 2014.03.04 |
복지 국가, 협동조합 없이는 불가능하다 (0) | 2014.03.01 |
부산시, 내달 3일 '협동조합 지원센터' 개소 (0) | 2014.02.28 |
공유경제의 국내 현황과 향후 전망-김점산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위원 (0) | 201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