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 삼성에 구글앱 탑재 강요… 반독점 논란 확산
- 동아일보 201402.28(금)
- 극비계약서 공개 후폭풍
- "구글은 언제나 자신들이 개방(open)을 지향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현실에서 그 개방이란 대단히 제한적인
것이었다.”(월스트리트저널)
미국과 유럽에서는 13일 공개된 구글과 삼성전자 간 계약서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계약서에 구글이 자사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를 쓰는 조건으로 스마트폰 제조사에 구글 앱을 탑재하도록 강요한 정황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전자업계는 전체 스마트폰 OS의 80%를 점유하고 있는 구글의 독주를 경계하면서도 마땅한 대안이 없어 고심하는 모양새다. 검색, 동영상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업계에서는 구글 독점체제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더욱 높다.
○ 구글-삼성 계약서 첫 공개 - <중략>
○ 구글 독주 모바일 생태계 ‘우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구글의 세계 모바일 OS 점유율은 78.8%에 이른다. 국내에서는 이른바 ‘삼성 효과’로 안드로이드 점유율이 92%에 이른다. <중략> 삼성전자와 인텔이 주축이 돼 개발한 ‘타이젠 OS’ 역시 전용 스마트폰이 출시되지 않아 시작도 하기 전에 ‘타이젠은 죽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 ○ 앱 스토어 매출서 구글 몫, 3→15%로 확대
- 모바일 인터넷 관련 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크다. 포털업계 관계자는 “안드로이드 OS가 대세로 자리 잡고 구글 앱이 대부분 기기에 기본으로
깔리면서 국내 앱이나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크게 불리해졌다”며 “앱 장터도 구글만 소유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업체는 자체 앱 장터를 운영할
수도, 수수료 수익을 올릴 수도 없다”고 말했다. 구글은 최근 국내 모바일 검색 분야에서 다음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으며 1위 사업자인
네이버와의 간격도 계속 좁히고 있는 추세다.
<중략>
이동통신업계의 또 다른 관계자는 “현재 국내 모바일 시장은 안드로이드 없이는 돌아갈 수 없는데 의존도가 높아지니 뒤통수를 맞는 느낌”이라며 “모바일 OS 분야의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플랫폼 비결은 `공유ㆍ개방`-이석우 카카오 대표와 마크 주커버그 (0) | 2014.02.28 |
---|---|
세계경제포럼(WEF),`미래를 바꿀 신기술 10가지` 발표(`14.02.26) (0) | 2014.02.28 |
[스크랩] NFC가 말한다! “스마트폰을 움직여라” (0) | 2014.02.27 |
[2014 MWC] MWC에서 본 모바일 4대 트렌드 (0) | 2014.02.26 |
3D 프린터(printer), 불가능의 영역에 도전한다 (0) | 201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