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매달 통신요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어디에서 요금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하시나요? 사실 통신요금 고지서가 한 눈에 보기 쉽진 않죠. 그렇다고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통신요금 고지서가 앞으로는 더 명확하고 알기 쉬워진다는 사실~! 그 이유는 바로 방송통신위원회가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의 통신서비스 요금고지서와 통신4사(SKT, KT, LGU+, SKB)의 스마트폰 앱 기반의 ‘모바일 앱 요금고지서’를 개선했기 때문입니다.^^
MSO 우편/이메일 요금고지서 개선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는 ▲ 예상해지비용․약정기간 기재 ▲ 사업자 간 기재방식 통일 ▲ 청구 항목명 일원화 ▲ 할인내역 알기 쉽게 표기 등 우편과 이메일로 제공되는 요금고지서를 개선했습니다.
예상해지비용에 대한 내용은 기본료, 장비임대료, 설치비 등으로 구분해 3개월에 1회씩 표기하도록 했고요, 약정기간 기산일 및 만료일을 요금고지서 앞면에 눈에 잘 띄게 기재해야 합니다. 서비스 별 이용요금을 청구금액, 할인금액, 납부 금액 등으로 구분하고, 서비스 별 기본료, 장비임대료, 부가서비스 이용료 등으로 구분해서 표기합니다. 그리고 할인 내역은 별도로 적도록 했습니다.
모바일 앱 요금고지서 개선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스마트기기 이용이 증가해 이메일보다도 더 간편하게 통신사 앱으로 요금을 확인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실시간 확인이 가능할 뿐더러 고지서 분실의 위험도 적어 우편으로 받는 것보다 더 편리하죠.
통신사 앱으로도 통신요금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SKT, KT, LGU+, SK의 스마트폰 앱 기반의 ‘모바일 앱 요금고지서’를 우편·이메일 요금고지서 수준으로 개선했습니다.
이용자 편의를 위해 ①청구내역, ②상세내역, ③단말기 할부내역, ④최근 4개월 요금 변화 추이, ⑤예상해지비용 등을 필수적으로 기재하도록 하고, 사업자 간 기재방식을 통일해 통신사가 바뀌어도 헷갈릴 염려가 없죠.^^
※ 통신4사(SKT․KT․LGU+․SKB)의 요금고지서(우편․이메일) 개선은 2012년에 완료 ※ 모바일 앱 요금고지서 : 스마트폰 앱을 통해 간편하게 요금을 조회할 수 있고, 원할 경우 결제까지도 가능한 요금고지서 (각사별 이용방법 별첨) - (SKT, SKB) 스마트 청구서, (KT) 올레 스마트 명세서, (LGU+) MPost |
* 본 포스팅은 아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
http://www.kcc.go.kr/user.do?mode=view&page=A05030000&dc=K05030000&boardId=1113&cp=1&ctx=ALL&searchKey=ALL&searchVal=%EA%B3%A0%EC%A7%80%EC%84%9C&boardSeq=37244
출처 : 정책공감 - 소통하는 정부대표 블로그
글쓴이 : 정책공감 원글보기
메모 :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없는 대한민국] 스마트폰 이후… '개미 삼성' 100곳 키우자 (0) | 2014.01.09 |
---|---|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ICT 소통 기술 (0) | 2014.01.09 |
미래부, 2015년까지 ICT·R&D 공공데이터 448개 개방 (0) | 2014.01.09 |
[CES 2014]거물 CEO, 화두는 `연결성 기반 융합` (0) | 2014.01.08 |
‘바이오 인식’의 진화… SF영화 같은 현실이 온다 (0) | 2014.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