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졸업자 55만 절반은 공무원 시험..창업은 0.6%
머니투데이 2014.01.03(금)
[리프레임코리아:도전이 미래다]<1-1>한국미래 짊어질 청년이여 도전하라
편집자주 우리 경제를 도약시킬 '도전'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미래를 책임질 청년들은 실업의 공포에 떨며 안정된 직장을 붙잡는데 사활을 겁니다.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승부해야할 젊은이들이 너나없이 공무원 임용과 대기업 취업에만 목을 매는 사회는 미래가 어둡습니다. 이에 머니투데이는 2014년 신년 기획으로 <리프레임코리아: 도전이 미래다>를 제안합니다. 어려운 여건에서도 청년들이 창업 등으로 도전하는 사례를 살펴보고 이 같은 도전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해봅니다.
우리나라 한해 대학 졸업자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숫자가 7,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에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년 동안 창업하는 20대 청년의 숫자는 대학 졸업자의 0.6%에 불과하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로 과감히 창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일 교육부의 2013취업통계연보에 따르면 국내 552개 대학(전문대 포함)과 대학원이 배출한 2013년 우리나라 대학졸업자 수는 55만5142명이다.
청년들이 안정적 직장을 선호하는 가운데 공무원 시험 응시 규모는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치러진 9급 국가직 공무원 시험 지원자는 1년 새 4만7000여명이 늘어나 20만4698명에 달했다. 7급 국가직 공무원 지원자 7만1397명을 더하면 28만명 가까운 청년들이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고 있다.
매년 대학졸업자의 절반(49.7%)에 이르는 숫자가 공무원을 꿈꾸고 있는 셈이다
<중략>
직업선택요인은 전 연령대 평균 |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비부머 재취업 다단계·판매직 뿐… 양질 일자리 ‘별따기’ (0) | 2014.01.03 |
---|---|
정치권 무책임 속에 결국 500兆 넘어선 국가채무 (0) | 2014.01.03 |
미래에 부상하는 55가지 일자리 정보-토마스 프레이 다빈치연구소 소장 (0) | 2014.01.02 |
[스크랩] 게임을 활용한 고령자의 재활 보조 (0) | 2014.01.01 |
‘1000조 가계부채’…한국경제 최대 ‘부실 뇌관’ (0) | 2013.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