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스크랩] 게임을 활용한 고령자의 재활 보조

배셰태 2014. 1. 1. 15:21

 

 

게임을 활용한 고령자의 재활 보조


과학 및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각국의 인구의 고령화가 점점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UN의 고령화 사회의 분류기준을 보면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14%가 되면 고령화 사회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26년경에는 전체 인구의 20%가 65세 이상을 차치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일본은 2010년에 전체인구 중 65세 이상이 약 23.1%를 차지하여 이미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아시아의 여러 국가 중에서 고령화 비율이 아주 높은 일본에서는 일찍부터 고령자(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을 가리킴)들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제도의 제정과 관련 산업이 일찍부터 발전하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고령자의 재활을 돕는 목적으로 개발된 게임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일반적으로 게임의 주된 이용 대상을 10대에서 30대 사이의 젊은 층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일본에서는 간단하고 단순한 이용법, 그리고 실제로 이용자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게임을 통해 고령자의 재활을 돕고 있습니다.


고령자의 재활에는 약해진 팔다리의 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 등이 포함되는데요. 이는 단순한 동작의 반복으로 인해 흥미 및 의욕저하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여기서 소개해 드리는 게임들은 그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게임을 즐기는 동시에 재활 운동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재활을 위한 게임 '기립(起立)군'

PC 및 필요 주변기기(동작 감지 장치)와 해당 소프트웨어만으로도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다.


위의 영상은 관련 재활 게임을 개발한 회사의 소개 영상으로 주로 다리 근육의 근력유지 및 강화를 위한 게임입니다. 단순히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을 보면서 화면 속 캐릭터의 동작을 따라서 앉았다 서기를 반복하게 됩니다. 또한, 이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게임 내의 캐릭터에 여러 가지 변화를 주어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점수제를 도입해 게임을 즐기며 재활훈련을 할 수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서 다른 나라에 거주하는 이용자들과의 점수경쟁도 벌일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운동에 대한 지속적인 동기부여도 가능하게 합니다.


이외에도 기존의 체험형 게임(예를 들어 이전에 한국에서도 볼 수 있었던 두더지 잡기 등)을 응용하여 도입한 사례도 있습니다. 기존의 게임은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하여 속도와 판정이 빨랐지만,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게임기들은 느린 속도로 작동하고 약한 힘으로도 판정할 수 있도록 개량하였습니다.


아래 사진 속 해머 프로그의 경우, 이용자의 속도에 맞추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고령자도 및 휠체어를 탄 사람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고령자 재활을 위한 게임인 해머 프로그. 

튀어나오는 개구리의 머리를 양 옆에 있는 망치를 이용하여 내려치면 된다.



다음 사진 속 게임기는 게임 개발사인 ㈜반다이남코와 게임기 제작회사인 ㈜사이, 그리고 큐슈대학병원의 재활부가 공동으로 개발한 재활보조용 게임기입니다.

   

▲ 고령자 재활을 위한 게임기의 두근두근 뱀 퇴치2



각각의 게임기는 고령자의 재활 중, 팔 또는 다리 운동기능의 향상, 나아가 치매 예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고령자의 반응속도와 게임자세,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실제 해당 게임기를 재활 환경에서 적용한 결과,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환자의 운동 상태와 능력이 향상

됨은 물론, 단순한 움직임의 반복인 재활을 좀 더 즐겁게 해주는 효과도 있습니다.


아직은 도입 초기 단계이지만 여러 나라에서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은 의료와 병간호와 관련된 시장규모가 2020년에는 26조 엔의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는데요. 앞으로의 관련 게임 산업의 발전을 기대해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관련 산업들이 조금씩 발전하고 있는데요. 현재 다른 나라보다 앞서 있는 우리나라의 ICT 관련 기술을 잘 활용하면 관련 산업의 발전 속도를 가속화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글쓴이 : 미래창조과학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