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기획재정부,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발표(`13.11.15)

배셰태 2013. 11. 15. 15:57
협동조합 총자산 293억원…조합원 4만3770명
 뉴스1 2013.11.15(금)
 
기재부, 1209개 협동조합 첫 실태조사
직원월급 147~114만원…98% "계속 근무 희망"

 

설립준비기간은 약 2.6개월로 집계됐다. 업종은 도소매(28.2%), 농수임업(14.2%), 제조업(9.1%) 순이었다.

사업 형태로 보면 조합원을 주요고객(35%)으로 한 공동판매(51.4%)가 주된 수익창출방식으로 조사됐다.

<중략>조합 당 평균 취업자 수는 5.83명이었고 평균 피고용인 수는 5.11명으로 집계됐다. 급여를 보면 이사장이 평균 177만원을 받았고 상근이사가 165만원, 감사 154만원, 정규직 직원 147만원, 비정규직 직원 114만원을 받았다.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월급을 받고 있음에도 이들 피고용인의 지속근무의사는 높았다

 
협동조합, [베이비부머]가 주도

뉴데일리 2013.11.15(금)

 

협동조합 임직원의 평균급여는 월 114~177만원 수준, 협동조합 당 평균자산은 약 4000만원, 이사장은 대졸 학력의 50대 베이비부머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조합 임직원 급여는 114만~177만원

 경향신문 2013.11.15(금)

 

 

협동조합 1200개…평균조합원 59명·자산 4천만원

 머니투데이 2013.11.15(금)

 

협동조합 28.2%는 도소매업 … 평균 5.1명 고용

 내일신문 2013.11.15(금)

 

기재부 실태조사 "협동조합에 공공조달 시장 우선권 부여해야"

 

전국 협동조합 1200곳..평균 자산 4000만원

 이데일리 2013.11.15(금)

 

정부,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발표
"연말까지 협동조합 기본계획 수립"

 

협동조합법 시행 1년, 운영 실태 들여다보니…

이투데이 2013.11.15(금)

 

총 1200개 등록…평균 자산 4000만원, 급여 114~177만원에 불과

 

협동조합 1209개…평균 조합원 59명·자산 4000만원

정책브리핑 2013.11.15(금)

 

평균 5.1명 고용…임직원 급여는 114만~177만원

 

협동조합 임직원의 평균급여는 월 114~177만원 수준, 협동조합 당 평균자산은 약 4000만원, 이사장은 대졸 학력의 50대 베이비부머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작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 시행 이후 올해 5월 기준 기본법에 근거해 신고수리·인가된 1209개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설립·사업현황, 재무상황, 정책활용 등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협동조합 이사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협동조합 설립은 신생이 97.7%(730개)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다른 법인에서 전환한 협동조합은 2.3%(9개)에 불과했다. 설립 신고·인가 후 법인등기까지 모두 마친 곳은 651곳(87.1%)에 달했다. 업종은 도·소매(28.2%), 농·수·임업(14.2%), 제조업(9.1%) 등이 많았다. 평균 조합원 수는 58.7명이었다.

 

이사장은 전문대졸 이상(78.7%), 50대(39.8%), 남성(79.1%), 중소기업 출신(26.9%)의 베이비부머 세대들이 퇴직 후 주로 참여하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협동조합 임직원의 평균급여는 114~177만원 수준이었다.

 

직원을 고용한 협동조합은 416곳(55.7%)으로, 평균 5.1명을 고용하고 있었다. 특히, 사회적협동조합은 1곳 당 16.2명을 고용해 규모가 컸다.

 

올해 7월 기준 협동조합 당 평균자산은 약 4000만원이고, 평균자산 중 조합원이 낸 출자금은 74%인 약 3000만원에 달해 조합원의 출자금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피고용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에선, 주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상근직이 46.8%,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26.9시간으로 집계됐다.

 

지속적인 근무의사를 묻는 설문에는 97.5%가 긍정적으로 답했다. 이유로는 목적이 좋음(53.5%), 전망이 밝음(32.9%), 고용안정(9.7%), 근로조건(2.8%) 등을 꼽았다.

 

문의: 기획재정부 정책조정국 협동조합정책과(044-215-5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