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이든 모든 일에 전문가가 될 수는 없습니다. 아무리 똑똑한 사람도 남보다 못하는 게 한두 가지는 있을 수 있고, 평범한 사람에게도 한 가지 특기는 있게 마련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하면 자기가 가진 재능을 최대한 부각시키고 그것을 사회적 성공으로 연결짓느냐 하는 것입니다. 본인이 그걸 알고 있으면 남에게 알려지는 시기도 그만큼 빨라질 수 있겠지만 자기가 어떤 재능을 갖고 있는지조차 모르는 사람에게는 영원히 남에게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가 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남에게 내 재능을 알린다는 것은 결코 교만한 일이 아닙니다. 물론 자신이 얼마나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 여기저기 자랑하고 다니는 것은 충분히 타인의 반감을 살 만한 일이지만 지나치게 겸손한 것은 오히려 현명하지 못한 태도입니다.
우리는 촘촘하게 짜여진 사회적 관계의 그물 속에서 살아가고 있습니다. 남에게 인정받지 못한다는 것은 곧 사회에서 버림받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는 사람들에게 '나' 라는 존재를 알려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로부터 인정도 받아야 합니다. 성공은 혼자서 열심히 노력한다고 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의 처음은 당신이 누구인지, 어떤 일을 잘할 수 있는지를 알리는 것에서 시작됩니다.
나를 괜찮은 사람으로 포장하세요. 자신이 가진 재능을 강조한다는 것은 결코 부끄러워할 일도, 남을 해치는 일도 아닙니다. 당신이 갖고 있는 최고의 장점을 밖으로 끌어내 사람들의 주의를 그곳으로 집중시켜야 합니다. 그들은 그 장점에 주목한 나머지 당신이 가진 사소한 결점 같은 것을 발견할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이것은 남을 속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시선을 당신의 장점으로 유도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이러한 노력으로 당신은 자신의 재능을 발휘할 기회를 얻게 되고 그 분야에서 최고의 자리에도 오를 수 있을 것입니다.
흔히 사람의 첫인상을 결정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초 미만이라고 합니다. 10초 동안에 상대방의 호감을 얻지 못했다면 그와 함께 할 일에서 당신은 실패할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남보다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부각시키지 못했다면 소극적이라는 당신의 단점 때문에 그 재능이 가려진 것입니다. 자신의 약점까지도 장점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 합니다
에디슨은 귀가 잘 안 들린다는 약점이 있었지만 그것을 장점으로 역이용하여 '불굴의 과학자' 라는 이미지를 사람들 머리 속에 각인시켜 놓았습니다.
우리들은 누구나 감추고 싶어하는 단점과 드러내야 할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습니다. 성공하려면 감춰야 할 단점까지도 휼륭한 장점으로 변화시킬 줄 알아야 합니다. 여기서 단점을 장점으로 바꾼다는 것은 단점을 무조건 감춘다는 것과는 거리가 멉니다. 장점을 크게 부각시키면 당신이 가진 단점은 너무나 평범하고 인간적인 작은 약점으로 보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세상과 잘 융합해 나가는 첫걸음은 당신 자신이 당당하게 스스로를 내세울 수 있는 장점을 찿아내는 일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자신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올바른 일은 곧 당신이 팔아야 할 장점입니다. 일단 그것을 찿아냈으면 그 부분에 사람들의 주의를 끌어당기는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무엇을 원하든 당신이 그 분야에서만큼은 최고의 장점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 만큼 적극적이고 당당하게 나설 수 있어야 합니다. 성공하는 사람의 가장 중요한 습관은 항상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는 데 주저함이 없이 당당하다는 것을 늘 기억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일상다반사 > 자기계발·동기부여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신를 변화시킬 줄 알아야 한다 (0) | 2013.09.24 |
---|---|
속도의 시대에는 빠른 자가 크고 강한 자에게 이긴다 (0) | 2013.09.23 |
소셜미디어 시대에도 살아남으려면 글을 잘 써야 한다 (0) | 2013.09.22 |
소셜미디어 시대, 관점을 바꾸면 산타클로스가 보인다 (0) | 2013.09.21 |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바로 지금이며, 지금 만나는 사람, 그리고 지금 하고 있는 일이다 (0) | 201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