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협력 시대의 도래
경쟁의 궁극적인 형태는 협력입니다. 인간과 장내 유산균은 협력에 의한 공생구조로 진화했습니다. 인간 체세포와 미토콘드리아 역시 협력을 선택했습니다. 이제는 기업이 경쟁을 위하여 반드시 협력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앱스토어와 같은 플렛폼 경제구조는 공생의 진화를 선택한 공유경제입니다.
원래 플렛폼은 공유를 통한 효율 향상을 목적으로 존재합니다. 기차 플랫폼이 기차 노선마다 회사마다 다르다면 얼마나 자원의 낭비인가! 공항을 항공사와 노선마다 달리 짓는 것이 상상이 되는가? 고속도로를 혼자 독점한다면 얼마나 많은 비능률이 초래될 것인가? 효율은 공통으로 사용할 플랫폼을 건설함으로써 당연히 촉진됩니다.
이제 인터넷 발달은 오프라인 플랫폼 개념을 온라인으로 이동시켰습니다. 포털이 그러하고, 검색 사이트가 그렇습니다.온라인은 거리의 한계를 뛰어넘기에 오프라인에 비해 더욱 대규모화될 수밖에 없음을 우리는 현실에서 확인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검색과 포털은 초대형 플랫폼 두 세개 정도만 살아남습니다.
온라인에 이어 스마트폰이 촉발시킨 스마트 혁명은 인간의 모든 생활을 초연결구조로 진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호모 모빌리언스라는 신인류 진화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인류 진화 역사는 또 한 번의 새로운 단계를 맞고 있습니다.
오늘날 인류는 호모 에렉투스, 호모 사피엔스, 호모 루덴스, 호모 디지쿠스에 이어 호모 모빌리언스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네트워크는 스마트 혁명을 맞아 진화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더욱 똑똑해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는 인류를 사이보그로 변신시키고, 모바일 네트워크로 더욱 강력해진 소셜네트워크는 인간을 슈퍼맨과 같은 초인류로 진화시켰습니다.
소셜네트워크 집단지능이 호모 모빌리언스의 힘의 원천이 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이 인간의 아바타가 되어 초연결 구조로 진화하면서 인간의 모든 활동이 서로 연결되는 시대가 다가온 것입니다.
스마트 초연결 사회는 필연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플랫폼을 등장시키게 됩니다. 시공간이 융합하는 호모 모빌리언스의 세계는 소비자와 생산자도 융합합니다. 소위 프로슈머의 시대가 개막되고 있습니다. 혁신 과정은 생산과 소비가 초협력구조로 진화하면서 소셜혁신이 등장합니다. 혁신이 집단 지능화하는 것입니다. 위키, 퀄키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제는 개인 집, 차량, 여행, 책, 취미, 심지어는 질병도 공유합니다. 호모 모빌리언스의 스마트 세상은 다양한 플랫폼 기반의 공유경제이고, 결국 초협력구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공유는 협력입니다. 협력을 위하여 나의 필살기가 있어야 합니다. 내 꼴이 안 되면 끈은 사라집니다.
학교의 예를 들면, 학생들이 모든 과목에 걸쳐 평균 80점인 학교와 학생들마다 필살기를 가져 한 과목은 만점에 도달한 학교를 비교해 봅시다. 단독 경쟁구도에서는 전자가 유리하나, 협력구도에서는 후자가 유리합니다. 초협력이란 단어가 창조경제의 주제어가 된 이유입니다. 시장의 효율성은 공유를 통해 극대화 됩니다. 창조경제가 공유경제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경제 하려면 창조산업을 규정짓지 말라-이민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 (0) | 2013.08.28 |
---|---|
구글 무인자동차 상용화, 공유경제 시대 활짝 열린다 (0) | 2013.08.27 |
헌법에서 세상 바깥으로 나온 경제민주화 실패는 창조경제의 실패 (0) | 2013.08.26 |
공유경제 실천하는 '아시아비앤비즈닷컴' 사이트 오픈 (0) | 2013.08.23 |
[협동조합 성공시대가 온다] 성패 갈림길에 선 협동조합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