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제재 159

●●테드 포 하원의원 “문재인 대통령, ‘최대 대북압박’ 위험 빠트려...협상 지연 원인 일수도”●●

포 하원의원 “문재인 대통령, ‘최대 대북압박’ 위험 빠트려...협상 지연 원인 일수도” VOA 뉴스 2018.12.28 이조은 기자 https://www.voakorea.com/a/4718917.html 테드 포 공화당 하원의원. 한국 문재인 대통령의 유화적 대북 접근법 때문에 미국의 최대 대북 압박 캠페인이 위험에 처해있다고 테드 ..

[VOA 한국어] 미국 의회 의원들 “내년에도 대북 제재 강화해야”

■[VOA 뉴스] “내년에도 대북 제재 강화해야” (VOA 한국어 '18.12.26) https://youtu.be/PT0q15WEMLE 미 의회 의원들은 내년의 미북 비핵화 협상도 회의적이라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강한 대북 압박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강력한 대북 경제 제재를 위해 중국과 러시아의 동참을 견인해야..

●●미국 의회 대북 안건, 지난 회기 대비 약 2배 늘어…제재,인권 집중●●

미 의회 대북 안건, 지난 회기 대비 약 2배 늘어…제재,인권 집중 VOA 뉴스 2018.12.18 이조은 기자 https://www.voakorea.com/a/4704695.html 밥 메넨데즈 상원 외교위 민주당 간사가 지난 7월 열린 외교 안보 청문회에서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에게 대북 정책에 관해 질문하고 있다. 왼쪽은 밥 코커 외교..

●캐슬린 스티븐스 전 주한 미국대사 “북한, 대북제재 내성 강해…비핵화 단계적 접근해야"

스티븐스 전 대사 “북한, 대북제재 내성 강해…비핵화 단계적 접근해야" VOA 뉴스 2018.12.13 안소영 기자 https://www.voakorea.com/a/4698149.html 캐슬린 스티븐스 한미경제연구소(KEI) 소장이 워싱턴 사무실에서 VOA와 인터뷰했다. 제재는 수십 년간 이를 견뎌온 북한 지도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미국 전직 관리들 “북한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의 협조 제한적일 것”

미 전직 관리들 “비핵화 협상에서 중국의 협조 제한적일 것” VOA 뉴스 2018.12.05 안소영 기자 https://www.voakorea.com/a/4686877.html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대북 역할론을 강조하고 있지만, 미-북 협상에서 중국의 협조는 여전히 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