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일보 2013.05.17(금) 라동철 사회2부 선임기자
<중략>
이처럼 물품이나 공간, 재능을 독점하지 않고 타인과 공유하는 방식의 경제활동을 공유경제(Sharing Economy)라 한다. 미국 하버드대 법대 로렌스 레식 교수가 2008년 처음 사용한 이 용어에 걸맞은 기업들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2011년에 공유경제를 ‘세상을 바꿀 수 있는 10가지 방법’ 중 하나로 소개한 바 있다. 공유경제의 가치와 이것이 몰고 올 혁명적 변화를 간파한 것이다.
공유경제는 기존 자원의 활용도를 높이기 때문에 과잉소비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 발상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창조적이다. 제공자와 이용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공유경제 확산은 공동체 회복에도 기여한다.
서울시는 공유경제를 도시정책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8월 ‘공유도시 서울’을 만들겠다고 선언하고, 관련 기업이나 단체들을 지원하고 있다. 지난달엔 공유단체 및 기업 27곳을 지정해 사업비를 지원했다. 공유경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단체나 기업, 공유활동 희망 시민들을 연계시켜 주는 플랫폼 역할을 ‘서울 공유 허브’도 다음 달 오픈한다.
새 정부가 경제정책 기조로 내건 창조경제는 구체성이 결여된 모호한 개념이라는 지적이 있다. 협력적 소비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참여자들이 윈-윈하는 공유경제. 이런 것이 바로 창조경제가 아닐까.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경제와 에너지 R&D 비즈니스 모델-원장묵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전략기획본부장 (0) | 2013.05.19 |
---|---|
정부, 조합수 늘리기만 급급··제역할 못하는 협동조합 길라잡이 (0) | 2013.05.18 |
경제민주화는 아픈 손가락에 관심 더 갖는것이다-박근혜 대통령 (0) | 2013.05.17 |
협동조합, 6개월 만에 1000건 돌파••출자금 500원서 10억까지 다양 (0) | 2013.05.17 |
[공유경제]부산시, '협동경제 플랫폼 SNS' 구축 추진 (0) | 201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