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세태의 SNS 글 가져오기/페이스북(신규 계정 오픈)

2013년 5월4일 Facebook 이야기

배셰태 2013. 5. 4. 23:59
  • profile
    앞으로 국어•영어•수학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최고 명문대에 입학하고 졸업했더라도 중산층조차 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전통적인 교육으로는 답을 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답은 어디에 있을까요? 그 답은 바로 자신에게 있습니다. 그래서 질문이 정말로 중요하죠. 구체적으로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정답을 찿을 수 있는 질문을 던져 역으로 정답을 끌어내야 합니다.

    답이 있는 것은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그 자리에서 누구라도 알 수 있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금은 없는 답과의 씨름에 가치를 두는 시대에 돌입한 것입니다. 이것을 알지 못하면 지금부터의 교육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어째서 지식인도 교사도 부모도 눈치채지 못하는 것일까요?
    image
  • profile
    → 배세태 인문ㆍ어학계열 전공 구직자 10명 중 7명 … “전공이 취업에 도움 안돼” 헤럴드경제 2013.04.02(화) http://m.heraldbiz.com/detail.jsp?newsId=20130402000568
  • profile
    → 배세태 학원소멸과 공짜로 변하는 모든 교육콘텐츠, 세계통합대학을 이룩하려는 무수한 대학이나 기관 기구들이 나선다.인데일리 2013.04.08(월) 박영숙 '유엔미래보고서 2030'저자 http://blog.daum.net/bstaebst/9274
  • profile
    여자들에게 안 통하는 ‘남자다움’-한상복 작가의 여자의 속마음
    동아일보 2013.05.04(토)
    http://blog.daum.net/bstaebst/9506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 지난해에 이혼한 50대 이상 부부가 총 3만7400명으로 전체 이혼의 32.8%를 차지했는데 이것은 10년 전인 2002년(1만9600명)보다 90.8%나 늘어난 규모라는 것이다. 통계청 설명으로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많았다고 한다.반면 20대와 30대의 이혼은 각각 7.7%, 5.6% 줄었다.

    (····) 예전에는 미덕으로 여겨졌던 ‘남자다움’. 그러나 남자다움은 21세기에 들어 족쇄로 둔갑해 세상을 살아가는 데 불리한 사고방식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남자다움이 남자를 힘들게 하는 세상이 온 것이다. - 일부 발췌
    image
    여자들에게 안 통하는 ‘남자다움’-한상복 작가의 여자의 속마음
    동아일보 2013.05.04(토)
    http://blog.daum.net/bstaebst/9506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 지난해에 이혼한 50대 이상 부부가 총 3만7400명으로 전체 이혼의 32.8%를 차지했는데 이것은 10년 전인 2002년(1만9600명)보다 90.8%나 늘어난 규모라는 것이다. 통계청 설명으로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0년 이후 가장 많았다고 한다.반면 20대와 30대의 이혼은 각각 7.7%, 5.6% 줄었다.

    (····) 예전에는 미덕으로 여겨졌던 ‘남자다움’. 그러나 남자다움은 21세기에 들어 족쇄로 둔갑해 세상을 살아가는 데 불리한 사고방식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남자다움이 남자를 힘들게 하는 세상이 온 것이다. - 일부 발췌
  • profile
    → 배세태 대단한 통찰력 이세요. 너무 앞서 가시는데요.. 십년~이십년은 현상유지이며 .. 서비스 업종같은 삼차산업이 가장 먼저이며~ 정치인.경영인. 권력자는 넘어선 단계이며
    ~~ 데이터 자료는 신빙성에 불과하며
    의식이 만들뿐 누구도 모른담니다
    한예로 답만 찾으면 되는게 삶이 아닌데요. 교육은 사람을 보편적으로 만들어 융화의 도구람니다. 교육이 사라지면 개인 개성에 엄청난 차이가 발생되지 않을까요. 학교가 사라 진다면요. 보고 듣고 느끼는 것이 실재 오프라인에서 나누는 대화와 온라인 상에서 하는대화는 의 차이를 같은지 궁금 하네요~~^^
  • profile
    → 배세태 너무 앞서가는 것이 아니고, 특정분야에서의 교육 시스템이 뒤쳐져 가는 것입니다. 앞으로 대학의 교육자 분덜 많이 분발하셔야 될거예요. 상기 예시한 두개 기사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세요.
  • profile
    → 배세태 좀더 보구여~~
  • profile
    → 배세태 전공 취업은 당연 한데요 실생활에 적용 되는 기술과 지적인문은 다른 것이죠~ 실상은 기술인덕에 인간 생활이 풍요로운 거니까요??
  • profile
    → 배세태 두번째도 맞아요. 지식정보화는 끝나고 다음단계로 가는데 어떤 단계인가요.. 사회 기득권만 아직 유지하려고 하겠지만 끝난 상태인 것이지요~~ 정보 감사합니다~
  • profile
    → 배세태 피드백 감사합니다^^
  • profile
    → 배세태 결국 한울안 한이치가 다가오네요.
    인간 시스템은 그대로 존속 되겠 지만요~~예나 지금이나~~ 즐거운 토요일 되세요. 항상 좋은글 감사합니다.
  • profile
    → 배세태 나도 그중 한명?
    화창한 봄날입니다 좋은주말 되세요^^
  • profile
    → 배세태 자신의 사랑법으로 사랑을 했기 때문에 .....상대의 관점에서 사랑을 주었더라면......이런걸 배려라 하는가요.^^
  • profile
    삶을 변화시키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상황이 아닌 우리의 태도에 있습니다. 삶에 대한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태도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가장 강력한 힘이죠.

    조금 더 밝은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세요. 조금 더 긍정적이고 진취적인 태도를 취하세요. 불신이 아닌 사랑이 가득한 눈으로 사람들을 바라보세요.

    지금 우리의 마음가짐과 태도가 우리의 미래를 창조하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항상 기억하세요.
    image
  • profile
    → 배세태 잘 모르겠습니다. 나도 오늘 신문 보고 알았습니다.ㅎㅎ
  • profile
    한 평생 계속되는 로맨스, 그것은 바로 자기 자신에 대한 사랑입니다. 우리는 무엇보다 자기 자신을 먼저 사랑해야 합니다.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낮게 여기고 사랑하지 않는다면 어느 누구도 자기를 사랑하지 않을 것입니다.

    자기 자신을 가치있게 여기세요. 그 무엇보다 스스로를 사랑하고 아껴주세요. 스스로를 가치있고 사랑스럽게 여길 때 세상도 그렇게할 것입니다.
    image
  • profile
    '자기애'는 자신을 보호하려는 본능과 하나의 인격체로서의 존중입니다. 지나치게 자신을 사랑하게 되면 이기적인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부심'을 갖는 사람은 타인을 배려할 줄 알게 됩니다. 진정한 자기애는 나를 사랑하는 것처럼 타인을 사랑하는 것이죠.
    image
  • profile
    → 배세태 쉽지 않의실 일을 하시면서
    항상 새벽부터 늦은 시간까지
    글을 쓰시는 배세태님 대단한
    함에 훌륭함을 표 합니다.^--^
    늘 응원합니다.~~~ ^--^♥♥
  • profile
    → 배세태 감사합니다^^ 굿밤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