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공유·사회적 경제外

공간 나누고 물건 나누고 공유경제 "불황은 없다"

배셰태 2013. 4. 30. 12:18

공간 나누고 물건 나누고 공유경제 "불황은 없다"

한국일보 2013.04.29(월)

 

<중략>

 

불황이 지속되면서 재화와 공간을 나눠 쓰는 '공유경제' (sharing economy)가 급성장하고 있다. 공유경제는 활용도가 낮은 물건이나 부동산 등을 여러 사람이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것. 이를 통해 소유자 입장에선 효율을 높이고, 구매자는 싼값에 구입할 수 있는 '협력적 소비'가 가능해진다. 전문가들은 우리 경제가 구조적 저성장 국면에 진입한데다 소득이 크게 늘어나기도 어려워 공유경제가 꽃 필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한다. 물론 공유제품 확대와 젊은이에 치중한 서비스 보완 등 해결 과제도 적지 않다.

 

<중략>


공유경제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콜래보레이티브 펀드'(Collaborative Fund)의 크레이그 사피로 대표는 '국민도서관 책꽂이'를 "세계 유일의 공유경제 모델"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국민도서관 책꽂이' 측은 시험 서비스가 끝나면 여름이나 가을쯤 정규 서비스를 열고 월 3,000원 안팎의 정액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 책을 보관하는 창고를 현재 49.5㎡(15)평에서 198㎡(60평)으로 늘리기로 했다. 현재 보관된 책은 2만1,861권.

 

공유경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침체에 따른 소유ㆍ소비 관습의 변화와 정보기술(IT)의 발전, 공동체 기반의 소비문화 확산에 영향 받아 급격히 커지고 있. 지난해 공유경제 규모는 미국 110조원, 영국 28조원 등 총 550조원 규모로 추산된다. 포브스는 올해 공유경제 규모가 25%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민간의 공유경제 확대에 발맞춰 지방정부도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이 '공유도시'를 만들겠다는 약속에 따라 연말까지 공유 촉진 조례를 만들기로 했다. 이미 2월 말부터 승용차 공동이용 서비스인 '나눔카' 제도를 시행 중이다. '여러 사람이 차를 함께 사용한다'는 뜻의 나눔카는 승용차 한 대에 여러 사람이 약속을 맞춰 좌석을 공유하는 '카풀'과는 다른 개념이다. 서울 292개 주요 지역에 공유차량을 배치해 놓고 이용자가 거리만큼 사용한 뒤 요금을 내는 방식이다.

 

공유경제가 확고히 자리잡으려면 공공기관의 지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 자동차, 사무공간, 책 등 한정된 물품에서 품목 수를 더 확대해 규모를 키워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한편으론 공유경제 기업이 웹이나 모바일 기반의 서비스 일색이어서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익숙한 젊은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점도 사업모델 확장의 걸림돌이다.

 

이장우 경북대 경영학과 교수는 "공유경제는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개인들에게 기회를 주려는 새로운 변화와 맞닿아 있다"며 "소비자도 좋고 기업도 이익을 보는 공유경제의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태균 서울시청 사회혁신담당관은 "공유경제는 자원낭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소득을 창출해 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법규와 인프라가 미비가 한 점은 빨리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