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들 손에 있는 스마트폰이 창조경제의 실체”
미디어오늘 2013.04.05((금)
[인터뷰] 창조경제 '산파역' 현대원 서강대 교수
박근혜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창조경제'를 만드는 데 일조한 현대원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창조경제의 개념 논란에 대해 "(국회 등에서) 좀 쉽게 설명이 잘되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지 창조경제는 대단히 명확한 개념"이라고 말했다.
현 교수는 전화 인터뷰에서 "창조경제는 ICT 응용능력과 아이디어를 창업과 양질의 일자리로 연결시켜주자는 것"이라며 "ICT와 과학기술이 잘 연결되면 창업하는 사람도 생기고, 취직하는 사람도 생기고 경제도 활성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과 비교해서 창조경제는 실체가 없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실체가 아주 분명하다. 모든 국민들 손에 있는 스마트폰이 (창조경제의) 실체"라고 답했다.
현 교수는 카카오와 티켓 몬스터 등을 예로 들며 "인터넷에선 고용이 늘고 있지만 제조업에선 그렇지 않다"며 ICT 서비스업의 고용 창출 효과가 뛰어나다고 강조했다.
현 교수는 또 "정부가 창조경제에 대한 전체적인 로드맵과 실행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그런 것이 나올 때까지 언론과 정치권에서도 기다려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현 교수와 일문일답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 4월 8일부터 협동조합 중간지원기관 업무개시 (0) | 2013.04.06 |
---|---|
협동조합의 7원칙 (0) | 2013.04.06 |
빅데이터 개방 통한 일자리 창출이 창조경제-박원순 서울시장 (0) | 2013.04.05 |
협동조합 금융을 위한 세가지 제안-한겨레 김현대 선임기자 (0) | 2013.04.05 |
창조경제는 과정 아닌 목적지-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0) | 201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