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협동조합 석달] 금융지원·노하우 상호 교환 위한 전담 기관 필수
서울신문 2013.03.23 (토)
협동조합 정착 성공하려면
협동조합이 소상공인과 지역 상인, 소외계층 등이 글로벌 경제위기와 대기업과의 경쟁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협동조합제도가 시작된 지 넉 달도 안 돼 전국에 500여개의 협동조합이 생겨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다만 전문가들은 협동조합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금융 등 체계적인 지원과 공공사업 참여 확대, 기술력 확충을 위한 경쟁력 향상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다.
22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협동조합 발전을 위한 가장 큰 과제는 금융 지원 인프라 확충이다.
현행 협동조합기본법상 협동조합은 금융과 보험 분야의 진출이 제한돼 있다. 주식도 발행할 수 없어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쉽지 않다. 하지만 기업 심사 때 중요한 지표인 순이익률이나 자기자본이익률 등이 낮은 평가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 은행 대출도 쉽지 않다.
<중략>
남봉현 재정부 협동조합정책관은 “현재 교육할 수 있는 인원이 한정돼 있지만 앞으로 전국 7개 협동조합 권역 센터를 개설, 충실한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루 평균 6.5개씩 생겨나…이젠 협동조합이 ‘대세’ (0) | 2013.03.23 |
---|---|
스페인 `몬드라곤 협동조합`은 자산만 53조 (0) | 2013.03.23 |
[협동조합에서 희망을 찾는 사람들] ‘뭉쳐야 산다’… 세계가 놀란 협동조합 실험 (0) | 2013.03.23 |
이석채 KT 회장 "창조경제는 젊은이들의 드림 팩토리" (0) | 2013.03.22 |
경제민주화와 협동조합 활성화 위한 협동조합 기본법 일부개정안 발의 (0) | 201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