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2012.10.30 (화) 유성호 기자 (경제매거진 에콘브레인 편집장ㆍ평론가)
지난 몇 달 간 들었던 ‘경제민주화’란 단어가 지난 10년간 보다 많았다면 지나침일까. 아닐 것이다. 그만큼 지금 우리 사회는 경제민주화 논의 속에 함몰돼 있다. 특히 연말 대선의 최대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경제민주화는 이제 생활언어가 됐다. ‘올해의 단어’를 뽑으라면 1등은 따 놓은 당상이다.
포괄적 의미 때문에 그동안 마땅한 용처(用處)를 찾지 못하다가 최근 선거 정국과 맞물리면서 ‘물 만난 고기’가 됐다. 법은 명확성이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모호성을 담은 경제민주화가 득세를 하는 걸 보면 정치·경제가 불확실하긴 한 모양이다. 그래서 이 말의 뒷맛이 개운치 않다.
대권 주자들이 주장하는 경제민주화에는 다양한 ‘규제와 조정’이 들어 있다. 필요에 따라선 재벌의 계열 분리를 명령을 제도화하겠다는 공약도 보인다. 지나쳐 보이지만 골목상권과 중소기업 업종 잠식 등 자제력을 잃은 재벌의 무한확장성을 고려한다면 공약의 탄생 배경에 일면 수긍이 간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공유·사회적 경제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소비방식 ‘공유경제’ 미국서 급부상 (0) | 2012.11.03 |
---|---|
협동조합이 한국의 경제민주화에 기여할 것-스테파노 자마니 볼로냐대 교수 (0) | 2012.11.01 |
불황 속 새로운 경제활동 '공유경제'…"소유 못하면 공유하자" (0) | 2012.10.28 |
공유가치 창출이 기업경쟁력이다-정 권 KDI SCHOOL 교수 (0) | 2012.10.26 |
자본주의 5.0이 필요하다-곽승준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0) | 201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