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재판매(MVNO)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지 일 년이 지났다.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을 활성화 시키고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등장한 MVNO지만 아직까지 그 큰 뜻을 펼치지 못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에 따르면 현재 MVNO 서비스 전체 가입자는 약 81만9000명 수준이다. 전체 휴대전화 가입자의 2%에도 미치지 못하는 숫자다.
MVNO라는 이름이 어렵다며, '알뜰폰'이라는 새 이름까지 지어줬지만 일반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인지도가 낮은 상황이다. 문제는 무엇일까?
<중략>
정부에서는 단말기 자급제를 통해 알뜰폰 시장이 활성화 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지만, 이 제도 역시 마땅한 단말기가 없어 기를 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단말기 자급제 스마트폰인 ‘갤럭시M스타일’이 40만원 대에 출시됐지만, 같은 시기에 출시된 타 스마트폰에 비해 사양이 떨어진다.
LG전자의 보급형 스마트폰도 단말기 자급제용으로 출시될 예정이지만, 이것으로 알뜰폰의 활성화를 기대하기엔 제품 경쟁력이 너무 약하다. 이통사의 보조금 혜택이 제외된다고 생각하면 출고가 역시 싸다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향후 단말기 자급제가 잘 되면 알뜰폰 사업자들의 단말기 수급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제도적으로 풀거나 개입할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단말기 확보에 관여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이통사를 통한 단말기 수급 지원 가능성이 있음을 내비쳤다. 그는 “단말기 소싱에 돈이 많이 드는 만큼, 이통사에서 단말기를 구입할 때 MVNO도 함께 지원할 수 있도록 권유는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트렌드에 민감한 휴대폰 시장에서 단말기는 서비스 만큼이나 중요하다. 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24개의 알뜰폰 사업자들은 현재 상황을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다. 현재 이마트, 홈플러스 등의 대형 기업들이 MVNO 서비스에 진출할 예정이기에, 하반기에는 유통망 확보 및 단말기 수급 현황이 현재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플레이, 앱 정책 강화한다고 애플 앱스토어 될까? (0) | 2012.08.07 |
---|---|
애플-구글 모바일 싸움 가열··iOS6 기본앱서 구글 지도·유튜브 제외 (0) | 2012.08.07 |
아이폰5, 국내 LTE 지원 '힘든'이유 (0) | 2012.08.07 |
존재감 잃은 `SNS 종주국` 한국…국내외 SNS 비교 (0) | 2012.08.07 |
휴대폰 1명 가입하는데 702만원이라니…경악~~!!! (0) | 2012.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