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38면2단 2012,05.30 (수)
![](http://news.hankyung.com/nas_photo/201205/2012053055821_2012053072851.jpg)
장광수 < 행정안전부 정보화전략실장 >
우리나라도 지난 10여년 동안 역사, 문화, 과학기술 등 147종 6억건에 가까운 지식정보자원을 디지털화해 국가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해 왔다. 주민등록표, 토지대장, 건축물카드대장 등 국가 운영의 기본이 되는 주요 행정 DB와 조선왕조실록 등 보전 및 다양한 활용 가치가 있는 각종 역사·문화 DB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렇게 구축된 국가 DB는 산업계 학계 문화계 등에서 다양한 콘텐츠 및 상품으로 활용됐고 국민들은 언제 어디서나 국가적 중요 지식정보자원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이뿐만 아니라 국가 DB사업에는 그간 1000여개의 정보기술(IT) 전문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9만여명 이상의 고용인력을 창출하는 등 많은 경제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국가 DB사업은 이제 국민들의 생활, 문화, 일하는 방식 등 전반이 스마트 디바이스로 급격히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우선 빅데이터, 가상현실 등 스마트 시대에 적합한 신기술과 접목함으로써 데이터를 더욱 편리하고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전환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국가의 공공정보를 민간에 개방하는 한편으로 이를 민간의 다양한 정보와 융복합화해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더욱 가치 있는 서비스로 재창출하는 등 산업화의 주요 자원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동북공정 문제, 독도 문제 등 국제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DB를 글로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국제화할 필요도 있다. 이런 국가 DB의 전환을 위해서는 데이터의 정확성, 신뢰성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데이터 품질관리 및 인증체계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가 DB는 새로운 시대에 맞춰 신기술과 결합해 사회·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 자원으로 계속 발전해야 한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웨이와 ZTE의 초저가 중국폰 한국상륙 ‘산 넘어 산’, MVNO 난감 (0) | 2012.05.31 |
---|---|
단말자급제 가입자도 요금할인…MVNO활성화 기폭제 (0) | 2012.05.31 |
빅데이터·클라우드·HTML5 '어떻게 활용할까?' (0) | 2012.05.31 |
구글, 국내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 본격 진출 (0) | 2012.05.31 |
휴대전화 단말기자급제 한 달, 보급형 단말기 어디 갔어? (0) | 2012.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