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칼럼 26면 2012.03.05 (월)
한운영 온세텔레콤 부문장ㆍCTO
이동통신 시장이 이동통신 3강의 고착화된 상태에서 국민의 가계소비지출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통신요금 인하를 목표로 정부가 추진했던 정책이 제4 이동통신과 이동전화재판매(MVNO)사업이다. 하지만 제4 이통은 지난해 사업자 선정 실패로 정책 실현 기간이 지연될 것 같고 지금 당장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정책은 MVNO사업 뿐이다.
지난해는 MVNO가 탄생한 원년이었다면 올해는 본격적인 성장을 기대해야 하는 시기다. 하지만 현재 상황으로는 이러한 기대를 만족시키기는 어려운 상태인 것 같다.작년 7월 MVNO사업자들이 서비스를 시작한지 벌써 6개월이 지났지만 MVNO 가입자는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통해 MVNO 제도를 도입, 신규 MVNO사업자의 등장으로 경쟁을 활성화시켜 가계통신비 인하를 목표로 하는 정책 도입으로 1단계 활성화 정책을 마련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정부를 비롯해 많은 관련 업계 종사자들이 올해에는 번호이동과 블랙리스트 제도가 시행되면 MVNO가 활성화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애매한 정책으로는 MVNO 활성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실례로 번호이동이 올해부터 일부 도입됐으나 MVNO 활성화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지 않고 있고 블랙리스트 제도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제대로 작동할지 여부도 알 수 없다. 따라서 MVNO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가 2단계 활성화 정책을 도입해야 할 시점이라는 생각이다
<중략>
네 번째로는 MNO는 MVNO가 기존 이통시장을 잠식하는 MVNO가 아니라 이통시장의 파이를 크게 확대시키는 상생파트너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고 MVNO사업자는 정부의 지원책만을 기대할 것이 아니라 서비스ㆍ콘텐츠ㆍ유통채널 그리고 비즈모델 측면에서 독자생존을 담보하는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해 MNO와의 협력과 공존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실질적인 `MVNO2.0' 사업모델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MNO와 MVNO 간에 명확한 협력 기준을 마련해 객관적이고 상시적인 의견 조정 주체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취약계층 스마트 미디어 활용교육 (0) | 2012.03.08 |
---|---|
[스크랩] 2012 전미소비자가전쇼(CES) 이젠 커넥티드 혁명이다 (0) | 2012.03.06 |
이계철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 후보 "통신료 인하, MVNO가 해답" (0) | 2012.03.06 |
MVNO의 살길은 최신 단말기 확보와 마케팅 (0) | 2012.03.06 |
페이스북, 기업 마케팅 지형을 바꾸다 (0) | 2012.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