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헬로비전, 통신사업 승부수 띄웠다…통신환경 변화 주목’
이투데이 경제 2011.12.29 (목)
“내년 30만명, 2014년 90만명, 2015년 11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하겠다. 가입자가 100만명을 넘어서면 자체 통신망을 확보할 수도 있다.”
변동신 CJ헬로비전 사장이 ‘헬로모바일’이라는 브랜드를 앞세워 국내 이동통신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내년 1월 1일 홈쇼핑 방송을 시작으로 가입자 모집에 나서는 CJ헬로비전은 CJ그룹이 역량을 총동원해 지원에 나서는 만큼 국내 통신환경에 변화의 바람을 예고하고 있다
<중략>
◇통신업계 CJ출현에 바짝 긴강
=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등 기존 통신사업자들은 CJ그룹의 이같은 전략에 바짝 긴장하는 눈치다. 지금까지 출범한 MVNO 사업자와는 다르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자체 보유한 345만명 케이블 가입자와 CGV, CJ오쇼핑·올리브영 등의 회원수를 합하면 1000만명을 넘어선다. 이 유통체계를 통해 직접 판매에 나서면 파급력이 상당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지금까지 MVNO사업자는 전용 단말기 확보와 이통사에 비해 떨어지는 마케팅 능력, 번호이동 등 난제로 기대 이하의 실적을 보였다. KCT·아이즈비전·에넥스텔레콤·프리텔레콤 등 MVNO사업자의 가입자 수는 45만명 수준에 머물고 있다.
여기에 방송통위원회의 지원정책도 호재다. 방통위는 제4 이통사 출범 불발로 MVNO 시장 안착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또 내년 4월에 휴대폰 단말기 블랙리스트 제도 도입으로 CJ헬로비전 역시 단말기 라인업에서 기존 통신사와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이 가능하다.
여기에 지금까지 MVNO사업자 대한 고질적인 불신의 이유였던 통신망 안정성에 대해서도 걱정이 없다는 입장이다. 망 제공 사업자인 KT와 돈독한 관계를 구축하고 있어 통화품질 향상 위해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KT가 SK텔레콤 견제 차원에서 CJ에 망을 임대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요금제와 통화품질 면에서 KT의 입김이 어느 정도 작용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일보 2012 신년특집] 스마트포노이드, 인간관계의 벽을 깨다 (0) | 2011.12.31 |
---|---|
`IT산업 경쟁력 지수`…세계 경쟁력 3위(`07)→19위(`11) (0) | 2011.12.31 |
LG유플러스, 전국 84개 도시에 LTE 서비스 본격 개시 (0) | 2011.12.29 |
[2012 방통위]MVNO활성화-휴대폰 유통 개선..통신시장 '개방' 가속 (0) | 2011.12.29 |
통신료 싸질까?…CJ 등 MVNO 도전 (0) | 2011.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