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차 직장인 송태진(34)씨는 과거 300개 남짓하는 명함을 명함정리함에 넣어 관리하던 때와 달리 최근 명함 인식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다. 명함의 정보를 문자로 인식해 정리해주기 때문에 일일히 옮길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명함첩을 따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편리하기 때문이다. 기존 명함 리더기의 경우 20만원대를 웃도는 가격이었지만 최근에는 무료버전 뿐만아니라 유료버전도 2~3만원 수준으로 훨씬 경제적이어서 많은 직장인들이 활용하고 있다.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고 한번쯤은 받아보았을 명함. 종이로 되어있는 명함을 어떻게 정리해야 할지,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고민해 보셨을 텐데요. 오늘 기사를 통해서는 명함관리의 달인이 되기 위한 2가지의 인기 명함인식 어플리케이션을 비교해보고 스마트한 명함관리를 제안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비즈니스’ 카테고리에서 단연 TOP5안에 속해있는 ‘명함인식’ 어플리케이션. 최근에는 Lite버전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사용해보고 유료버전을 구입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먼저 명함인식 어플리케이션인 Biz Reader와 Cam Card의 Lite버전으로 비교를 해보곘습니다.
★ 간단하고도 실용적인 Biz Reader
먼저 Biz Reader Lite 버전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Lite 버전에는 주요기능 3가지가 서비스되고 있는데요. 명함 촬영은 직접 명함을 촬영하는 기능, 명함선택은 사진첩에 저장되어있는 명함을 불러오는 기능, 명함첩은 인식한 명함을 주소록 뿐만 아니라 명함첩에 따로 넣어 그룹별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럼 명함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실제로 살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명함을 찍으면 명함의 모서리를 지정하도록 합니다.
이후 명함을 스캔하게 되고 자동으로 주소록에 입력이 됩니다. 무지 빠른 속도에 놀라기도 했는데요^^;; 그러나 인식률은 다소 떨어지는 듯 했습니다. 이름과 전화번호가 약간씩 명함과 다르게 인식되었는데요. 주소록상에서 바로 수정하고 삭제할 수 있도록 연동되어있어서 명함을 주소록에 저장 하는데는 문제가 없었습니다^^
그리고 저장하기를 누르면 명함첩에만 저장 할 수도 있어서 자신의 핸드폰 주소록과 명함첩을 따로 관리하고 싶은 분께는 매우 편리할 것같습니다.
★ 다양한 기능의 Cam Card
보시는 바와 같이 CamCard에서는 간단해보이지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실제로 명함인식을 실행해 보겠습니다^^
크게 4가지의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Biz Reader와 달리 ‘이메일 서명’ 기능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는 명함 뿐만 아니라 텍스트로 이루어진 문자를 인식하는 것인데요. 보통 생각하는 ‘명함’ 외에도 이메일로 보내어진 명함, 텍스트로 저장되어있는 명함을 인식할 수 있다는게 장점입니다.
실제로 명함을 인식해보니 이메일을 제외하고는 제대로 인식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Cam Card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명함의 뒷면도 함께 저장할 수 있어서 ‘명함 뒷면 사진 추가’ 기능을 이용하면 앞 뒷면 이미지를 주소록과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
★ QR코드 명함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최근 QR코드 명함이 생겨나자 QR코드 명함을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도 출시가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QR코드를 스캔하여 주소록에 등록하는 것인데요. 이는 QR코드 안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데 불러오는 것이기 때문에 종이 명함을 스캔하는 것보다 정확성이 높다고 합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직접 QR명함을 만들어보는 서비스를 하고 있으니 자기 PR의 시대에 QR명함명 내밀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으로 인기 명함인식 어플 Biz Reader와 Cam Card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업무중 ‘그때 그 거래처 명함이 어디있더라?’, ‘핸드폰에 저장해놨었나?’ 하는 고민,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해 보았을텐데요. 쌓아가는 종이 명함 고민하지 마시고 명함 인식 어플리케이션으로 명함 관리의 달인이 되시길 바래요^^!
두루누리 기자 - 정다애
diana24h@naver.com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 시대 가고 '웹앱' 시대 온다 (0) | 2011.09.18 |
---|---|
[스크랩] 한국, 정보통신기술 발전지수 세계 1위했어요!! (0) | 2011.09.18 |
SNS 데이터 분석·가공해 마케팅에 활용 '소셜 애널리틱스' 뜬다 (0) | 2011.09.16 |
美 성인 인터넷 이용자 65%가 SNS 이용 (0) | 2011.09.16 |
[스크랩] 폰 잃고 외양간 고치는 법! (0) | 2011.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