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신문 2011.09.05 (월)
일본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가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과 마찬가지로 일본에서도 저가 이동통신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언론을 종합해보면 최근 MVNO 신청 기업이 줄을 잇고 있다. NTT도코모에 약 120개, KDDI와 소프트뱅크까지 더하면 올해 들어 MVNO 신청 기업이 200개를 웃돈다.
이동통신사는 임차비용 지불 능력 등을 심사해 계약한다. 일본의 기존 MVNO는 90개 정도다. 신청 기업 수를 감안하면 연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MVNO 신청이 폭증한 것은 작년 3월 통신 정책 주무 부처인 일본 총무성에서 망 임대 가이드라인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라 NTT도코모 등은 올해 1분기에 임대 요금을 20∼30% 낮췄다.
기존 이통사 반응도 신규 MVNO사업자에 우호적이다. 휴대폰 가입자가 포화에 가까운 상황에서 MVNO가 신규 매출원 역할을 톡톡히 한다는 것. 이용자 입장에서도 일부 기능은 제한되지만 보다 저렴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선택의 기회가 생긴다.
신규 MVNO사업자는 주로 IT벤처다.
..이하 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ICT·녹색·BT·NT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이스피싱, 가짜 사이트로 유인해 예금 인출...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11.09.08 |
---|---|
이동통신 3사에 '잡힌 고기'의 비참함 (0) | 2011.09.06 |
대한민국 MVNO,시장안착 쉽지않네 (0) | 2011.09.06 |
SNS기반 CRM(고객관계관리) 시장 커진다 (0) | 2011.09.06 |
[중국 휴대폰 역습]기술 격차 6개월 불과… 5년뒤 시장 뺏길수도 (0) | 2011.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