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방통위, MVNO 도매대가 산정방식 제정 작업 착수

배셰태 2010. 5. 6. 19:55

방통위, MVNO 도매대가 산정방식 제정 작업 착수

디지털타임스 IT/과학 2010.05.06 (목)

 

KT 재판매 '가이드라인' 주목

 
KT가 옛 KTF의 이동전화를 재판매했던 당시의 재판매 산정방식이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도매대가 산정작업의 중요 가이드라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가 MVNO(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 도입을 위한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제정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과거 KT-KTF간 재판매 사례가 MVNO 도매대가 가이드라인으로 검토되고 있다.

 

방통위는 MVNO 관련법인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도매대가 가이드라인, 산정방식 제정을 위한 시행령 마련작업에 착수했다. 지난해 국회를 통과한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은 MVNO와 이동통신사간 협상시 정부가 사전에 그 대가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부의 도매대가 기준이 가이드라인 역할을 함으로써 협상시 구속력을 갖게 하겠다는 것이다.

 

방통위와 MVNO 사업자들이 유력한 가이드라인으로 꼽고 있는 모델이 KT의 재판매 사업이다. KT는 지난 1999년부터 자회사인 KTF의 PCS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KT가 계약에 의해 KTF의 이동통신 회선을 임대하고 가입자유치, AS 등을 총괄해왔다는 점에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MVNO와 유사하다.

 

당시 KT-KTF간 이동통신 도매대가는 분당 최대 111원, 최소 99.9원에 달한다. 소매가격대와 비교할 경우 설비를 제공한 KTF와 재판매 사업자인 KT는 수익의 50%를 각각 나눠가졌다. 현재 KT는 재판매 사업자에게 30~40%의 수익을 배분하고 있다.

 

방통위나 MVNO 희망업체들은 KT가 현재 재판매 사업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수익배분 비율에 주목하고 있다. KT 도매대가 비율이 국내 여타 별정통신, 재판매 사업과 비교해 그나마 MVNO(재판매사업자)의 수익을 보장할 수 있는 모델이라는 판단에서다.

 

MVNO를 준비중인 케이블업계 관계자는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는 가운데, KT 재판매도 중요 참고사례가 될 수 있다"면서 "해외사례 등을 다각도로 검토한 뒤 결과를 도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전히 통신망을 제공해야 하는 이통사와 망을 임대해 신규 이통사업을 전개해야 하는 MVNO 사업자간 간극은 너무나 크다. 양측 모두 말을 아끼고 있지만, MVNO 사업자 상당수가 이통사와의 수익배분 비율이 50:50은 돼야 사업이 가능하다는 입장인 반면, 이통사들은 20∼30%를 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끝> 

***************************************************************************************** 

휴대폰 유심 개방 후폭풍 온다 <==========================클릭

ZDNet Korea IT/과학 2010.04.28

유심은 사업자, 가입자 번호 등을 담은 일종의 식별 카드다. 북미나 유럽서는 본인 유심을 여러 휴대폰에 옮겨 끼우며 사용하는 서비스가 일반적이다.

 

사용자 선택권 확 늘어난다

휴대폰 단말기는 껍데기(?)일 뿐 유심 주인이 누구인지가 중요한 것이다. 이 유심은 휴대폰처럼 이통사 매장에서 개통한다. 

 

■이통사-제조사 기득권 흔들?  

반면, 이통사와 제조사들은 적잖은 타격이 예상된다. 휴대폰 시장에서의 기득권이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통사의 경우 단말기 보조금을 뿌려 가입자를 모으는 기존 마케팅이 힘들어질 전망이다. 간단히 유심 개통으로만 이통사를 옮기려는 고객을 어떻게 잡아야할 지 고민하게 됐다.수십만원대 단말기 보조금을 주면서 잡은 ‘의무사용기간’을 써먹지 못한다는 뜻이다.

========================================================================================= 

[지식·정보]

 

**이동통신 재판매 사업으로도 불리는 MVNO 사업이 지난 2월 국회 입법을 마치고 올 9월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대한민국 -`몬토토(주) / 몬티스타텔레콤`과 미합중국 - `엑셀사`<===클릭

몬토토, 올해 재도약의 기틀 잡는다 <=============================클릭
사업 활성화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 기반 구축
넥스트 이코노미/2010년 02월 24일(수)/이영민 기자   
 

Global leader for you?   

<몬토토(MTT) 그룹>

 
1. 몬토토(주) - 유통법인(네트워크 마케팅회사)
 
    liitsmall.com / 리츠 몰
    liitsedu.com  / 리츠 에듀 
    www.liits070.com / 리츠 070
 
2. (주)몬티스타텔레콤 - 별정통신1호(통신망서비스 제공) / 하반기 mvno 진출예정
 
3. 몬티테크(주) - 제조·생산(voip 단말기/이동통신 재판매)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