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상상 그 이상의 ‘증강현실’

배셰태 2010. 4. 19. 21:32

상상 그 이상의 ‘증강현실’

한겨레 IT/과학 2010.04.19 (월)

 

..중략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이 만들어 낼 미래의 미팅문화를 그려 본 것이다. 증강현실은 1990년 보잉사의 톰 코델(Tom Caudell)이 항공기 내부 설계를 보여주기 위해 실제와 가상이미지를 동시에 보여준 기술에서 비롯됐다.

 

이런 시도들은 올드 미디어(old media)에서도 부분적으로 드러났다. 얼마 전 방영했던 TV드라마 ‘공부의 신’에서는 장면을 보강해주는 별도 컷이 삽입되거나, 실사 컷과 만화 컷을 병행하는 방법이 사용됐다. 이처럼 현실의 부족한 점을 보완, 증강하려는 다양한 시도 중의 하나가 증강현실이다.

 

2010년 현재 증강현실 기술은 건물의 밖에서 내부를 보여주거나, 잡지 표지에 나온 모델들이 움직이는 것을 보여주는 정도다. 63빌딩 앞에 서서 스마트폰에 건물을 인식시키면 외부 모습뿐만 아니라 내부의 수족관, 아이맥스 등 고객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내용들이 영상메시지로 동시에 제공된다. 또 일부 글로벌 패션잡지들은 표지에 코드를 삽입해서 소비자가 입력장치에 그 코드를 인식시키면, 패션모델이 실제로 다양한 옷을 입고 말하고 걷는 모습을 볼 수 있게 했다.

 

증강현실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종류지만 현실과 강하게 융합돼 그 영향력과 친화력이 크다. 증강현실은 플라톤이 말했던 이데아를 꿈꾸는 인간들이 만들어 낸 작은 이데아다. 그러므로 매력적이다.

 

..이하 전략

 

============================================================================================

 

증강현실 - 위키백과

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을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증강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의 가상 현실과 달리 현실세계의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며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휴대폰 속 증강현실` 위치정보 또다른 변신

보안ㆍSNS 등 서비스 다양… 2013년 시장규모 1330억달러
이통3사, 증강현실 접목강화 구글ㆍ애플 등 공세 적극 대응

디지털타임스 2010.03.24 (수)

 

폰으로 비추면 모든 자료 뜬다

매일경제 경제 2010.03.25 (목) 

 

'현실'을 보는 또 하나의 눈 '증강현실'

아이뉴스24 IT/과학 2010.03.27 (토) 

 

================================================================================

 

모바일 발(發) 미래혁명은 시작됐다!
산업과 경제, 지식과 정보, 사회와 문화에 대한 개념을 바꾸는 모바일 힘!

 

여행을 하다가 멋진 건물을 봤다. 이때 여행객이 휴대폰카메라를 건물 쪽으로 향하면 휴대폰 화면에 표시되는 건물 사진 위에 건물에 대한 정보와 건물 안의 유물에 대한 정보가 글과 그림으로 표시된다. 휴대폰을 대면 유적이나 유명 건물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므로 관광가이드가 필요 없다. 처음 가는 길이라도 휴대폰만 켜면 자동으로 현재 위치와 방향을 파악해 근처의 지하철역 위치와 이동방향, 역까지 거리를 표시할 것이다.


마음에 드는 아파트가 판매중인지 아닌지 궁금하다면 휴대폰으로 비춰보기만 하면 된다. 실세계에 3차원의 가상물체를 겹쳐 보여주는모바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브라우저 라야(Layar)/국내-스캔 서치(Scan Search)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집주소, 판매가격 등이 자동으로 휴대폰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새로운 프로그램 등장으로 부동산중개업자가 필요 없는 것이다(부동산 중개업은 사라지고 부동산 정보를 입력하는 직종으로  바뀜). 휴대폰용 브라우저이기 때문에 집주인에게 바로 전화를 걸어 매매 또는 임대차 거래를 할 수 있다.벼룩시장과 같은 생활정보지는 물론 인터넷 중개사이트에 접속할 필요도 없다. 만약 휴대폰에 비춰지는 건물이 식당이라면 음식과 가격 정보가 표시될 것이고 일자리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근처에서 구하고 있는 구인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그외 자신이 원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업이나 건물이 어디 있는지도 바로바로 표시된다.

만약 가까운 커피전문점을 찾는 사용자에게 ‘커피빈’은 안 보여주고, ‘스타벅스’ 위치만 보여준다면 어떻게 될까? 마음에는 드는 동네를 발견하고 휴대폰을 켜서 아파트 매물을 검색하는데 매물 정보에 ‘래미안’ 아파트는 뜨지 않고 ‘자이’ 아파트만 뜬다면 또한 어떻게 될까? 트위터에 래미안 계정을 하나 개설한다고 해서 아파트가 백 채 더 팔리거나 덜 팔리지는 않지만 5천 만 국민의 휴대폰에서 매물 검색 때 래미안만 빠진다면 그 영향은 실로 심각할 것이다. 그야말로 손바닥보다도 작은 모바일 하나가 경제와 비즈니스의 목줄을 쥐고 흔들게 되는 셈이다.
 
프로필<==========클릭
****前 경남 김해시 삼정동 66-1번지 : 세영공인중개사 사무소(등록번호: 가 4316-770)/약 9년 운영(2000년 6월 12일~2009년 3월 20일)/경남부동산네트워크(KNCITY) www.kncity.co.kr 협의회 회원으로서 국내 정상급 PC기반 웹2.0 홈페이지(www.se-young.co.kr) 운영 - 현재 경남부동산정보업체 (주)넷통에서 부동산광장(공인중개사 사이트) 도메인으로 사용
 

-The 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