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블루오션’을 찾아라]<5·끝> 지식기반형 1인 창업
동아일보 경제 2011.04.11 (월)
아이디어 있다… 봉급쟁이 싫다… 23만 ‘1인 창조기업’ 뛴다
《 1인 창조기업 브로드콘 최성희 대표(40)의 올해 매출 목표는 5억 원이다. 지난해까지 다니던 온라인 게임회사가 경영난으로 폐업 위기에 몰리면서 당장 일자리를 고민해야 했던 것에 비하면 그야말로 하늘과 땅 차이. 브로드콘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제작하는 회사. 자동차 앞 유리에 주행속도를 표시해주는 ‘허디(Hudy)’를 포함해 지금까지 내놓은 6개의 앱 다운로드가 벌써 90만 건에 이를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제작 중인 12개의 앱이 모두 성공하면 연간 매출 10억 원 달성도 허황된 꿈이 아니다. 》
1인 창조기업 브로드콘의 최성희 대표(오른쪽)와 인턴직원 이재훈 씨가 지난달 31일 서울 광진구 군자동 세종대에 마련된 사무실에서 개발 중인 스마트폰 앱에 대해 의논하고 있다. 최 대표는 지난해 정부의 1인 창조기업 지원 프로그램인 ‘앱 창작터’에서 앱 개발자인 이 씨를 만나 창업에 성공했다. 김미옥 기자 salt@donga.com
앱을 개발하는 1인 기업을 창업하려면 컴퓨터나 스마트폰 전문가여야 할 것 같지만 사실 그는 브로드콘을 창업하기 전까지는 앱 개발에는 문외한이었다. 하지만 그는 중소기업청과 세종대에서 운영하는 창업 지원 과정인 ‘앱 창작터’에서 앱 개발자 기초과정을 수료하고 대학생 개발자들의 도움을 얻어 창업에 성공할 수 있었다. 최 대표는 “지식 콘텐츠 관련 창업 아이디어는 많았지만 앱을 개발할 기술은 부족했다”며 “하지만 교육 과정을 통해 만난 전문가들의 도움으로 생각보다 빨리 창업에 나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업난을 해결하는 최고의 방법은 ‘성장’이다. 하지만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경제성장이 만들어내는 일자리의 수는 갈수록 줄고 있다. 한국의 고용탄력성은 2001∼2006년 평균 0.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하위권이다. 국내총생산(GDP)이 1% 증가할 때 일자리는 0.3% 늘어나는 데 그치고 있다는 의미다. 일자리 창출이 좀처럼 활로를 찾지 못하면서 최근 크게 늘고 있는 1인 창조기업이 실업난 해결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1인 창조기업은 주로 지식서비스 분야에서 독특한 아이디어를 갖고 있는 개인이 혼자 창업해 이익을 내는 기업이다. 일자리 증가가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말 국내 1인 창조기업의 수는 23만5000여 개로 처음으로 경제활동인구의 1%를 넘어섰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3만2000개(15.7%)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국내에서 늘어난 일자리 수 45만5000개 가운데 7% 정도가 1인 창조기업을 통해 나온 것이다.
○ 모바일 1인 창조기업 붐
..이하 전략
==============================================================================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한국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30만 개에 이른다. 경기 회복으로 전체 실업률이 낮아지고 있지만 청년실업률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해 ‘고용의 봄’이 아직 멀었다는 평가가 많다. 동아일보는 ‘일자리 블루오션을 찾아라’라는 창간기획 시리즈를 5회에 걸쳐 연재한다. 서비스업 활성화와 고령층 재취업 등을 통한 국내외 일자리 만들기 현장을 점검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식경제부, 2011년 인력사업 종합시행계획 수립...13만8000명 혜택 (0) | 2011.04.11 |
---|---|
[부산/경남] “어르신들에 일자리 드려요” (0) | 2011.04.11 |
[일자리 ‘블루오션’을 찾아라]<4> 퇴직한 베이비부머들을 위한 창업 (0) | 2011.04.11 |
[일자리 ‘블루오션’을 찾아라]<3> 유연근무제로 여성고용 확대를 (0) | 2011.04.11 |
[일자리 ‘블루오션’을 찾아라]<2> 관광·전시 컨벤션(MICE)산업 (0) | 2011.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