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한국은 여전히 동맹인가’...“미국, 남중국해 분쟁에 지지 촉구■■

배셰태 2019. 5. 24. 15:00

‘한국은 여전히 美의 동맹인가’...“美, 남중국해 분쟁에 한국 지지 촉구

펜앤드마이크 2019.05.24 양연희 기자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9179

 

미국이 중국과 갈등 중인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문제와 관련해 최근 우리 정부에 “중국이 부당하게 영유권을 주장하며 항행의 자유를 제한하고 있다”는 미국측의 입장을 설명하고 지지를 요청했다고 조선일보가 24일 보도했다.

 

미국이 ‘반(反) 화웨이 캠페인’에 이어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 문제에서도 우리 정부의 동참과 지지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조선일보에 따르면 복수의 한미 정부 소식통은 이날 “미 국무부가 최근 외교부에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에 관한 입장과 최근 미측 대응 상황을 설명하면서 한국 정부의 지지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중국은 남중국해 90%에 해당하는 ‘남해 9단선’을 그어 안쪽은 모두 자국의 영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스카보러 암초 일대를 비롯한 주요 인공섬에 군사시설 등을 구축해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주변국들과 분쟁을 빚고 있다. 지난 2016년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상설중재재판소(PCA)’는 중국의 영유권 주장이 이유 없다고 판결했지만 중국 정부는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영유권 주장을 무력화하기 위해 전함 등을 남중국해 주요 해역에 항해시키는 ‘항행의 자유’ 작전을 꾸준히 수행하고 있다. 미국은 이달 들어 두 차례(6, 20일)나 작전을 실시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지난 20일에도 미 해군 7함대의 주력 구축함인 프레블함은 남중국해 핵심 수역인 스카보러 암초 12해리 안쪽을 항해했다. 미 7함대 측은 이날 작전의 목적이 “과도한 영유권 주장에 도전하고 수로에 대한 접근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을 겨냥했음을 분명히 밝혔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남중국해 문제와 관련해 중국에 대한 비판을 자제해왔다. ‘남중국해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미중 갈등이 격화된 가운데 최근 미국이 재차 확실한 지지를 촉구함에 따라 양국 사이에서 입장이 난처해졌다는 관측이다.

 

미국은 오는 5월 31일~6월 2일 한·미·중·일·러·아세안 국방장관 등이 참석하는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아시아·태평양 전략’과 ‘남중국해 항행의 자유’에 한국이 미국의 편에 서달라고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도 지난달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현상을 변경하려는 (중국의) 위압적인 시도에 심각한 우려와 반대를 표명한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은 같은 회의에서 한국에 ‘3불(사드 추가 배치, 미국의 MD 참여, 한미일 군사 동맹 불가) 입장’의 재확인을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하전략

================

[참고요]

■1895년 을미사변의 교훈...한미동맹 이탈하여 중국에 줄을 대려는 문재인 정부

펜앤드마이크 2018.10.08 김용삼 전 월간조선 편집장

http://blog.daum.net/bstaebst/31074

 

을미사변에서 잊지 말아야 할 교훈이 있다. 동맹을 잘못 선택하면 패가망신, 국가멸망에 이른다는 사실이다. 세계사의 주류세력인 패권국 영국이 아니라, 패권에 도전하는 비주류 국가 러시아와 손잡으려 했던 민 왕후와 조선. 123년 후로 시계바늘을 돌리면 영국은 미국, 러시아는 중국으로 바뀌어 있다.

 

세계사의 주류세력과 손잡은 한미동맹에서 이탈하여 비주류 패권도전국인 중국에 줄을 서려는 문재인 정부의 외교 행위는 구한말 민 왕후의 참혹한 실패외교의 완벽한 답습이다. 그 말로가 어땠는지 문재인 정부는 ‘10월 8일’의 교훈을 잊지 마시길 권한다.

==============================

[참고요/미중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