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직 관리들 “북한의 폼페오 장관 교체 요구, 용인 못할 결례…협상 재개에 영향 줄 것”
VOA 뉴스 2019.04.19 안소영 기자
https://www.voakorea.com/a/4882151.html
지난해 5월 평양을방문한 마이크 폼페오 미국 국무장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회담하고 있다.
북한이 ‘신형전술 유도무기’ 실험 등 군사 행보에 나선 가운데, 미국과의 고위급 회담 상대인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의 교체를 요구했습니다. 미국의 전직 관리들은 북한이 ‘금지선’은 넘기지 않으면서 대미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면서도, 협상 상대국의 국무장관에 대한 막말은 용납할 수 없는 외교적 결례라고 비판했습니다.
<중략>
로버트 갈루치 전 국무부 북 핵 특사는 미-북 협상에 진전이 없는 가운데 이뤄진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이번 군사 행보에 대해 수위를 조절한 대미 압박으로 해석했습니다.<중략>갈루치 전 특사는 18일 VOA와의 전화통화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 재개가 일종의 금지선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신호를 김 위원장이 잘 알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이 선을 넘지 않고, 전술무기 실험에 나선 것은 연말까지 인내심을 갖겠다고 말한 김정은의 시정연설 내용과 일맥상통하지만, 이후 미국과 합의하지 못하면 안보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른 방향을 선택하겠다는 압박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앞서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공군 부대 비행 훈련을 참관한 데 이어 신형 전술유도 무기의 사격 시험을 직접 지도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시험한 무기의 종류는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았지만, 단거리유도미사일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마크 피츠패트릭 전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미국과 합의하지 못한 김정은이 불만을 표출하기 위해 ‘작은 도발’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중략>미사일 실험 등 심각한 도발에 나서는 대신 재래식 무기를 실험한 것은 선을 넘지 않으면서, 미국의 관심을 불러오는 김정은의 방식이라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 것은 무기의 종류가 아니라 북한의 행태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조셉 디트라니 전 6자회담 미국 측 차석대표는 북한은 6자회담을 하면서도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전례가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고, 지난 25년 동안 북한은 도발을 통해 불만을 표출하며 긴장을 고조시켰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한은 지금 ‘하노이 회담’ 이후 미국의 태도 변화가 없는 데 불만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라면서, 중요한 것은 어떤 무기인지가 아니라 실험에 나섰다는 행위 자체에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중략>
갈루치 전 특사는 북한이 할 수 있는 ‘전략적 결정’으로 영변 핵 시설에 대한 검증 가능한 방법의 폐기, 핵 신고서 제출, 해당 시설의 되돌릴 수 없는 폐기 약속을 꼽았습니다.<중략>그러면서 북한은 이를 기록으로 남겨야 하며, 미국과 마주 앉아 (비핵화) 약속을 어떤 절차로 밟아 나갈지, 로드맵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호교수의세상읽기] 미국 상원, 문재인 정부의 친중(親中)정책 경고하는 결의안 채택 (0) | 2019.04.19 |
---|---|
[VOA 한국어] 전체보기: VOA 뉴스 4월 19일 (0) | 2019.04.19 |
●크렘린궁, "김정은, 4월 하반기 러시아 방문" (0) | 2019.04.19 |
●●미국 언론 “북한의 신형무기시험, 인내심 한계 드러내”…“대화 중단 신호는 아닐 것”●● (0) | 2019.04.19 |
●FATF “중국, 대북제재 이행 노력 높이 평가…북한에 집중하느라 이란 제재 소홀” (0) | 2019.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