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ICT·녹색·BT·NT外

인터넷전화[VoIP]관련 및 과금관련 용어

배셰태 2010. 4. 10. 22:45

 

인터넷전화[VoIP]관련 용어 및 과금관련 용어

 

VoIP 용어정리

- PESQ(Perceptive Evalution of Speech Quality) : 2001년 승인된 ITU-T P.862. 인트루시브, 즉 액티브 테스팅을 이용해 VoIP를 측정하는 데 있어 가장 현대적이고 효과적인 알고리즘으로 평가받고 있다.
- Passive monitoring(패시브 모니터링) : 라이브 음성이 네트워크에서 전달이 될 때 원래의 레퍼런스 오디오 샘플의 혜택이 없이 이것을 도청하고(eavesdropping) 음성 품질을 평가하는 프로세스. ‘넌인트루시브 모니터링(nonintrusive monitoring)’이라고도 한다.
- PAMS(Perceptual Analysis Measurement System) : 비표준 인트루시브 음성 측정. VoIP로인해 생겨나는 다양한 지연을 참작할 수 있다. 1998년 브리티시 텔레커뮤니케이션즈(British Telecommuni cations)에서 개발.
- PSQM(Perceptual Speech Quality Measure) : ITU-T P.861. 0에서 6.5까지 점수를 이용하며 0이 가장 완벽한 상태다. 코덱 테스팅용으로 고안되었으나 VoIP용으로 적합지가 못한데, 그 이유는 VoIP로 야기되는 다양한 지연에 적응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P.563 : 2004년 5월 ITU-T에 의해 표준으로 제정. 레퍼런스를 사용하지 않고 넌인트루시브방식으로 들어서 통화 품질의 등급을 정하는 패시브 모니터링 툴로서 이용된다.
- SSW(소프트스위치) : C4(Class-4)급의 교환기가 제공하는 서비스로, 망관리, 호제어/처리, 과금통계, SS#7의 신호처리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VoIP메인시스템.
- SG(Signaling Gateway) : IP망과 PSTN No.7의 신호망을 연결하는 장비로, 음성전화호설정 및 해제등의 역할을 하며 소프트스위치의 한 구성요소이다.
- SBC(Session Boarder Controller) : VoIP장비의 보안 및 QoS 보장, 코덱(H323,SIP,MGCP)호환, 고객사의 NAT/방화벽을 통과시키기 위한 부가장비.(Layer 5(Session Layer)에서 작동한다.)

- DTMF Inband : RTP음성패킷에 DTMF누른 번호를 같이 실어서 보내는 방식
RFC2833 : Inband의 일종으로 DTMF의번호/DTMF누른시간등을 좀더 더 세밀히전송하여 DTMF전송에 신뢰성을 더함
Outband : RTP외의 별도 패킷으로 전송.

http://cafe.naver.com/voipbcn/561에 자세히 나와있습니다.참조하세요.

- IPC [IP Centrex] : 전용인터넷전화기를 이용하여 기업에 필요한 교환기 기능을 서비스하는 시스템
예) 당겨받기, 돌려받기, 착신전환, 통화 중 대기 등.
- R값 : ITU-T G.107의 E-model을 기반으로 한 R (Rating) 값은, 전화접속 장치의 특성 및 데이터망 특유의 손실
과 지연 등을 함께 고려하여 객관적인 통화품질을 제시하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본 지표는 이미 ITU-T
G.109, ETSI TS 101 329-2, TIA (미국), TTC (일본)에서 통화품질 지표로 채택되었다.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관계관리
- DTD(Dial Tone Delay) : 발신음 지연시간
- PDD(Post Dialing Delay) : 다이얼후 접속지연시간
- RAI(Remote Alarm Indication) : 수신측 장비의 에러나 채널이 모두 Busy인경우, 발신측장비로 문제에 대한 부분을 알려주는 기능 (예:GK->GW로 오 연동시 GW의 채널이 Full로 찾을 경우 GW는 GK로 채널Busy에대한 부분을 GK로 알려줌. 키퍼는 RAI를 받으면 해당 GW로 호를 보내지 않고 우회 시킴.-키퍼에도 기능이 있어야함.)

신호방식 종류(R2, PRI ISDN)
- CAS(Channel Associated Signalling)-R2(DTMF) : 음성신호 또는 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 동일한 매체에 감사신호 및 선택신호를 시간별, 공간별, 또는 주파수별로 대역을 분할하여 함께 전송하는 방식

- CCS(Common Channel Channel Signalling)-PRI ISDN : 음성신호 또는 데이타신호를 전송하는 매체를 감시신호 및 선택신호를 전송하는 매체와 분리하여 전송하는 방식

- T1 : NAS(북미방식): 1.544Mbps, 24CH, 1Frame
=>신호채널 23번
- E1 : CEPT(유럽방식): 2.048Mbps, 30CH, 1Frame
=>신호채널 16번
- E&M(Ear&Mouth)의 약어로 2,4Wire가 있고 통화회선인 Tip/Ring선을 이용하여 착신과 발신을 동시에 할 수 있다.(타입으로는 l~V방식중에 TypeV(5)를 많이 사용.
- CME(Circuit Multiplication Equipment) : 음성신호(Analog)를 디지탈(Digital)로 변환/압축하여 전용망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
- MRB(Multimedia Ring back) : 멀티미디어 컬러링
- MCID(Multimedia Caller ID) : 현재는 숫자와 문자만 표시가 가능하나, 추후 이모티콘, 아이콘, 특정벨소리등의 다양한 컬러아이디표현이 가능.
-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 멀티미디어 메세지서비스
- UMS(nified Messaging Service)
- IPCC(IP Contact Center)
- M-AD(Multimedia Advertisement):멀티미디어 광고 서비스.
- 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 단말기 ( RMG , Terminal, Gateway,CPG …)
=>VoIP단말기를 부르는말(소형)
- GW (Gateway) : 회선교환망 (SCN : Switched Circuit Network) 의 Endpoint 와 H.323 단말기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 Audio, Vidio, Data 의 전송규격 및 프로토콜 등의 변환 기능을 담당.
- GK (Gatekeeper) : H.323 Endpoint 들 간의 호 처리 서비스 와 사전 호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Voip Network 의 Brain 역할을 수행.
- CODEC (Coder Decoder) : VoIP의 음성을 압축 및 해제하는 방식 (G.711, G.723.1, G.729a …)
- Dial Tone : 지역 전화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350 + 440 Hz) PBX에 연결되어진 전화의 경우는 PBX로부터 Dial Tone이 제공. 즉, Dial Tone은 전화기가 연결되어진 교환기로부터 제공됨.
- RBT (Ring Back Tone) : End Digit 후 착신에서 들려주는 정상적인 Tone (착신에서 전화 받기 전)
- Virtual RBT(Ring back Tone)-가상링백톤 ; H323 메세지중 상대쪽 GW로부터 Alarting 메세지가 오기 전까지, 통화자에게 들려주는 만들어진 소리.
- Inter Digit Time : Digit 과 Digit 사이의 시간(전화번호의 숫자와 숫자를 누르는시간)
- DTMF (Dual Tone Multi Frequency) : Dual Tone Multi Frequency (톤 감지 방식) 다이얼링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전자식 전화에서 사용하는 방식. 각 숫자는 여덟 가지 주파수에서 선택한 16가지 사인과 쌍과 짝지어져 있다. 전화기의 보턴을 누를때 발생하는 신호음 (신호 주파수) 각각의 보턴은 하나의 낮은 주파수와 하나의 높은 주파수의 결합에 의해 구성된다.
- FXS (Foreign Exchange Station) : PSTN신호와 비슷한 인터페이스. 일반 전화 송수화기로 다이얼 톤을 보내는 역할을 한다.
2W LOOP 신호 방식의 가입자 회선 등을 수용하며 가입자 측으로 통화전류 RING신호를 공급하며 상대 시스템으로 음성신호 및 DTMF,LOOP on/OFF의 DIAL신호를 PCM 데이터로 처리하여 전송로에 송출하는 서비스이다.
- FXO (Foreign Exchange Office) : 일반적인 전화 송수기와 비슷한 인터페이스. (즉, 다이얼 톤을 보내 주는 다양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2W LOOP(2선식 루프) 신호방식의 교환기측 신호와 접속되어 교환기측 전원전류 및 RING신호를 수신하여 상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발신측 음성신호를 PCM 데이터로 처리하여 가입자 통화 선로를 구성한다
- PCM(Pulse Code Modulation) :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인코딩하고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인코딩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G711코덱) 음성을 1초동안 8비트씩 8,000번 샘플링하여 인코딩한다. (8bit x 8,000Hz = 64Kbps)
- DID (Direct Inward Dialing) : 국선에서 자동 구내 교환기 의 가입자 전화로 오는 착신호가중계 대를 거치지 않고 지정된 내선전화기에 자동접속 되는 서비스. (자동착신방식)
- DOD (Direct Outward Dialing) : 사내 자동 구내 교환기 가입자가 교환원의 개입 없이 직접 다이얼링으로 외부의 일반가입자에게 연결할 수 있는 기능. (직접외부호출방식)
- CID(Caller ID) : 발신자의 번호를 수신자의 전화기에 표시하는방법
- E.164 : 가입자 단말에 입력되는 전화번호 (H.323 VoIP의 필수 입력사항)
- H.323ID : H.323 VoIP의 필수 입력사항으로 가입신청시 ITSP업체로부터 부여

- Busy : 통화중을 의미함. Busy 신호에는 Slow Busy와 Fast Busy가 있다. Slow Busy는 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가 통화중임을 나타내며 (1분당 60회의 신호음 송출) Fast Busy는 전화 사용자가 과다하여 네트웍이 혼잡함을 나타낸다. (1분당 120회의 신호음 송출)

이 경우 상대방의 전화가 통화중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 PBX (Private Branch Exchange) : 사설 구내 교환대(Key-Phone, PABX)
- IP-P(A)BX (Internet Protocol-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인터넷 사설 자동 전화교환기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공공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중 전화교환망.
=>한국에서 KT, Hanaro, Dacom이 이에 속함(기간망사업자)
- MCU (Multi Point Unit) : 3개 이상의 단말기들이 회의(Conference)를 하기 위해 필요. MCU는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를 받아서 회의에 참여중인 단말기에 배포.
- Hook-on(On-Hook) : 전화의 수화기가 놓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전화기가 회선과 끊기게 되며 전화벨은 대기 상태로 된다.
- Hook-off(Off-Hook) : 전화의 수화기가 들려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전화국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준비(번호인식)하게 된다.
- Howling : 통화할 때 말소리의 울림, 떨림현상.
- Echo : 통화할 때 내가 말한것이 수화기를 통해 다시 내 귀에 들리는 현상.
(소프트웨어/하드웨어적으로 모두 발생 할 수 있음)
- 측음 : 통화중 이야기를 하지 않고 가만히 있을시 통화가 끊긴것처럼 먹통이 되는 현상이 있는데, 이것을 주위의 잡음을 송화기 부분에 자연스럽게 전송하여 통화가 계속이어지는 것 처럼해주는 방식(VoIP기능중VAD와 비슷)
- VAD(Voice Active Detection):쉽게 설명드리면, 말을 할때만 rtp로 음성이 전달되게 하는 기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음성이 없을때는 묵음으로 됩니다.
- MOS (Mean Opinion Score) : 유/무선상의 음성 품질을 측정하는 측정방식중의 하나.
1) G.711 => Mos Score 4.1 2) G.723.1 => Mos Score 3.9 3) G.729a => Mos Score 3.7
- Gain : 통화상태의 음성을 높이고 줄이는 일종의 볼륨같은 조절값.
- calledNum : 착신측전화번호(VoIP메세지중)
- callingNum : 발신측전화번호(VoIP메세지중)
- IVR (Interactive Voice Response) : 상대방의 상태(통화중, 잘못된번호, 없는번호등..)를 알려주는 안내 음성메세지
- VPS ( Video Processing Server)
- MCU (Multipoint Conferencing Unit) : 다자간 회의시스템
- H.261(CIF and QCIF), H.263 (CIF,QCIF and 4CIF): 영상 프로토콜
- CIF (Common Intermediate Format) : 화상회의시스템에 필요한 비디오형식의 하나.
- TDM (time-division multiplexing) ; 시분할 다중화

과금관련 용어

- Billing Server :통신 요금을 정산하는 과금담당 서버.
- CDR(Call Detail Record) : VoIP단말기와 PSTN의 통화시간(시작과 끝)을 키퍼에서 빌링서버로 전달하는 포멧의 형식(업체별로 CDR내용이 틀림)

- Prefix : 키퍼에서 호를 다른 GW/GK로 보낼시 번호의 자원을 분배하는 번호의 체계.

 

 

출처:

http://montistatelecom.com/cyber/notice_view.asp?pk=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