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사회신용체계] 21세기 판 디지털 전체주의...중국몽에 동참하는 문재인정권

배세태 2019. 1. 6. 12:53

[홍지수 칼럼] 21세기 판 디지털 전체주의

펜앤드마이크 2019.01.05 홍지수('트럼프를 당선시킨 PC의 정체' 저자)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36

 

신좌익 이념이 만연한 서구사회, 포용/관용/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표현의 자유 억압

소셜미디어/크라우드펀딩/신용카드회사가 고객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서비스제공여부 결정

IT기술로 개인을 감시하고 사상을 검열하는 21세기 전체주의 시대가 도래하는가.


수십 년 전 등장한 마르크스주의의 변종인 프랑크푸르트학파와 포스트모더니즘(이하 신좌익)은 이 세상의 모든 가치체계와 문화는 동등하다고 주장하면서 서구문명의 가치와 정면으로 배치되는 가치관까지도 포용, 관용, 다양성 존중이라는 이름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지구상에서 그나마 가장 사람이 살만한 곳인 서구사회와 그 토대가 된 가치관을 허물고 있다. 그런데 신좌익은 가치판단을 거부하고 문화적 상대성을 내세우면서 한편으로는 서구문명은 착취적이고 억압적이라고 가치판단을 하는 모순적 태도를 보인다.


신좌익은 서구문명/백인/그리스도교에 대한 비판은 무한정 허용하면서 그들이 사회적으로 억압받는다고 규정한 집단이나 그 구성원에 대해서는 그 어떤 비판도 허용하지 않는다. 사실에 기반한 비판이라고 해도 말이다. 좌익이 비판을 금기시하는 대상들은 크게 세 부류다. 난민/불법체류자, 성소수자, 무슬림이다. 유럽에서 무차별적인 난민수용 이후 급증한 강력범죄와 성범죄 등 사회적 문제, 서구사회의 가치체계와 공존이 불가능한 이슬람 율법을 고수하고 서구사회에 동화되기를 철저히 거부하는 무슬림 이민자들이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 성소수자는 인간은 양성으로 구분된다는 자연의 질서에 예외적인 존재임을 인정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그 질서 자체를 부인하는 주장 등에 대한 비판은 절대로 허용되지 않는다.

 

스스로를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싸우는 투사로 간주하는 신좌익은 자신들의 주장에 맞서는 이들은 모조리 편협한 “백인우월주의자,” “극우나치”로 몰고 있다. 신좌익 이념이 장악한 시대에 나고 자라고 교육받은 이들이 학계. 언론계, 문화계를 장악하면서 서구 진영의 주류언론은 외눈박이 좌경화 되고 좌익 이념의 선전선동 도구로 전락했다. 그러면서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 미디어가 대안 언론으로, 억압받는 우익 의견의 출구로 급격히 부상했다. 그러나 이제는 유튜브를 비롯해 전 세계의 대안 언로를 손아귀에 쥔 소셜미디어 회사들까지도 자의적인 기준을 적용해 좌익 이념에 반하는 의견을 억압하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구글 등 세계적 IT기업의 CEO들을 비롯해 대부분의 IT 산업 종사자들은 좌익 성향으로 집단사고에 빠져있다. 신좌익 이념이 장악한 학계에서 교육받은 고학력자들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유튜브는 애매모호한 표현으로 가득한 “공동체 준수 기준(community standards)”을 정해놓고 이를 위반하거나 “일부 광고주들에게 적합하지는 않은 내용”으로 판단되는 동영상에 대해 광고를 박탈하고 있다. 광고를 박탈당하는 유튜버는 대부분이 우익 성향의 유튜버들이다.

 

우익 성향의 유튜버들은 광고수익을 박탈당하게 되자 구독자들로부터 기부금을 받아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결제 서비스인 페이팔(Paypal)이나 페이트리언(Patreon)같은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로 눈을 돌리기 시작 했다. 그런데 이런 결제 서비스나 크라우드펀딩 사이트들 까지도 고객의 정치적 성향을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을 중단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서비스를 거부당하는 이들은 물론 대부분 좌익의 이념에 반하는 주장을 하는 우익성향의 고객들이다.

 

<중략>

 

한국의 우익 진영 유튜버들도 유튜브 활동의 제약을 받고 있다. 지난 7월 나는 펜앤드마이크에 출연해 영국과 스웨덴에 침투한 이슬람 현황을 소개하는 동영상을 찍었고 이 동영상이 유튜브에 게재되었는데 얼마 전 그 동영상이 삭제되었다. 최근에는 중국을 비판하는 한국의 유튜버들이 “공동체 기준”을 위반하거나 “증오표현”을 했다는 이유로 광고 수익을 박탈당하거나, 계정이 폭파되거나, 실시간 스트리밍 중에 수퍼쳇으로 기부금을 받지 못하거나, 실시간스트리밍을 일정 기간 동안 금지당하는 등 제재를 받고 있다. 심지어 특정 동영상을 공개하기도 전에 해당 동영상에 대한 광고수익을 박탈당하는 사례도 있다.

 

중국은 얼마 전 첨단기술을 이용해 국민 개개인의 언행에 점수를 매기는 사회신용체계(social credit system)를 구축한다고 발표했다.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해 정부 입맛에 맞지 않는 언행을 하는 사람의 자유를 억압하겠다는 뜻이다. 실제로 류 후(Liu Hu)라는 중국 시민은 트위터에서 중국정부를 비판했다가 항공기 탑승거부 명단에 올라 탑승권을 살 수 없었고 부동산을 사거나 자녀를 보낼 학교를 선택하는 데도 제재를 당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 정권도 얼마 전 개인의 소셜미디어 활동을 바탕으로 “맞춤법이나 관심사”를 파악해 대출여부를 결정하는 데 활용하도록 하겠다고 발표했다. 중국몽에 동참하겠다는 정권답다. 21세기 판 디지털 전체주의 시대가 열리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