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2)

[가짜뉴스 대책] 더불어민주당, 유튜브 영상 삭제압박 이어 野엔 "표현의 자유 운운 말라" 공세

배셰태 2018. 10. 16. 14:11

與, 유튜브영상 삭제압박 이어 野엔 "표현의 자유 운운 말라" 공세

펜앤드마이크 2018.10.16 한기호 기자

http://www.pennmik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856

 

집권前 '표현의 자유 특위'까지 만들어 "정권비판 수사 말라"더니...

작년 말 개최 토론회서 방통위원장 "디지털민주주의, 인터넷상 표현의자유 보장이 핵심"

집권 전후 자신들 책임 무관하지 않은 '가짜뉴스'에 대한 책임 지는 모습은 없어

與김태년 "얼토당토않은 가짜뉴스 지금도 버젓이 돌아다녀, 수수방관 단계 지났다"

가짜뉴스 지목대상은 '北에 쌀 퍼줘 쌀값 올라' '남북 철도·도로연결 기습남침 도우려는 것'

'北 국민연금 200조 요구' 의혹제기와 '文 뇌출혈로 쓰러져' 주장도 포함

野 가짜뉴스 방지입법·신고센터 운영에 딴지…정작 與대책단 "211건 고소고발" 홍보 전력

우원재 "與 위협적 메시지 반복 홍보하더니 정부까지 노골적 탄압…독재시대 시작"

 

정부·북한 비판적인 정보 확산을 싸잡아 '가짜뉴스'로 규정하고, 유튜브 관리주체인 구글코리아를 직접 찾아가 특정 영상 삭제까지 요청했던 집권여당이 이젠 야당 등 반대자들에 "표현의 자유 운운하지 말라"고 엄포를 놨다. 논점을 '가짜뉴스 단순 찬반'으로 왜곡해 정부·여당의 독주를 정당화하는 논리도 계속해서 구사했다.

 

집권 전까지 광우병·세월호·사드·탄핵 관련 가짜뉴스 수혜자이면서, 집권 후에도 최저임금 대폭인상 '긍정효과 90%'·고용원 있는 자영업자 수 증가·기무사 친위쿠데타설·서해 NLL기준 등거리-등면적 양보 주장 거짓브리핑 등 가짜뉴스를 양산한 책임을 인정하는 모습도 없었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당내 회의에서 발언하는 모습.(사진=연합뉴스)

 

<중략>

 

왼쪽은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가 '창작물'이라며 온라인상에 유포한 당 가짜뉴스TF 활동 예고 포스터, 오른쪽은 민주당 가짜뉴스TF에서 확대된 가짜뉴스대책단이 대(對)국민 고소고발 211건 성과를 홍보한 카드뉴스.

 

<중략>

 

우원재 자유한국당 청년부대변인이 지난 1월 더불어민주당 가짜뉴스대책단의 포털 댓글·소셜미디어·유튜브 게시물 고소고발 활동을 비판하면서 게시했던 카드뉴스.(사진=우원재 부대변인 페이스북)

 

<중략>

 

사진=포털사이트 네이버 검색화면 일부 캡처,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전신) 2015년 7월1일 표현의자유특별위원회 공동기자회견 관련 기사 일부 캡처

 

..이하전략

======================

[이미지 출처: 뉴스데일리베스트 유튜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