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중·러, 대북압박 강화하라”...각국 외무장관들, 안보리서 북한 규탄
VOA 뉴스 2017.12.16 함지하 기자
https://www.voakorea.com/a/4165812.html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15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북한 관련 안보리 장관급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유엔 안보리에서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에 대한 각국 장관들의 비난의 목소리가 쏟아졌습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은 중국과 러시아가 지금보다 대북 압박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중략>
틸러슨 국무장관은 미국 정부의 대북정책이 바뀌지 않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중략>
틸러슨 장관은 15일 유엔 안보리가 ‘비확산과 북한’을 주제로 개최한 장관급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초기 북한을 미국의 가장 큰 국가안보 위협으로 규정했다”며 이러한 판단은 오늘도 변함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북한은 지난달 29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이후 미 본토 어느 지역이라도 공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췄다고 주장했다면서, 북한의 증대되는 역량은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북한의 주장을 공갈 협박으로 치부하지 않는다고도 했습니다.
틸러슨 장관은 따라서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해 줄 것을 촉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러시아와 중국을 향해 결의 이행을 넘어 대북 압박을 높여달라고 요구했습니다.
<중략>
이번 주 초 말했듯, 대화가 시작되기 전 북한의 위협적인 행동이 지속적으로 중단돼야 한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북한은 대화 테이블로 돌아와야 하며, 동시에 압박 캠페인은 북한의 비핵화가 이뤄질 때까지 계속될 것이고, 또 계속돼야 한다고 틸러슨 장관은 강조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대화 채널을 계속 열어둘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틸러슨 장관은12일 워싱턴의 애틀랜틱카운슬에서 열린 포럼에서 북한과의 첫 번째 대화는 전제조건 없이 할 수 있다고 말했었습니다. 당시 발언은 북한과의 대화 조건을 분명히 했던 미국 정부의 과거 기조와 다른 것으로, 대북 접근법에 변화가 생긴 게 아니냐는 추측을 낳기도 했습니다.
<중략>
틸러슨 장관은 미국은 어떤 전제조건도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며, ‘쌍중단’이나 ‘제재 완화’, ‘인도적 지원 재개’ 등을 전제조건으로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미국의 대화 채널은 열려 있으며 북한도 이를 인지하고 있고, 대화를 하고 싶으면 어떤 문을 열고 들어와야 하는지도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회의는 안보리 12월 의장국 일본의 요청으로 개최됐습니다. 미국과 일본을 비롯해 스웨덴과 우크라이나가 외무장관을 이날 회의에 파견했으며 영국은 외무차관이 참석해 북한에 대한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유엔에선 안토니우 구테흐스 사무총장이 직접 참석했습니다.
마르고트 발스트룀 스웨덴 외무장관은 5가지 메시지를 북한에 전했습니다.
<중략>
모든 도발을 중단하고, 신뢰할만하고 의미 있는 대화를 할 것과 안보리 결의 이행 등 국제사회의 의무를 다하라는 겁니다. 또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폐기함과 동시에 핵확산금지조약(NPT)과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로 복귀해야 한다고도 촉구했습니다.
<중략>
자성남 유엔주재 북한 대사가 15일 유엔 안보리에서 열린 북한 관련 장관급 회의에서 북측 대표로 발언하고 있다. 북한 측 대표로 발언에 나선 자성남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미국을 겨냥했습니다.
<중략>
북한의 핵무기 보유는 명백한 자기 방어 조치로, 미국의 핵 위협과 협박으로부터 주권과 함께 존립과 발전의 권리를 지키기 위함이라는 겁니다. 이어 누군가 책임을 져야 한다면 이는 미국이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핵무기를 보유한 여러 나라가 있지만 미국처럼 공개적으로 위협과 협박을 일삼는 나라는 없다고 자 대사는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NPT 탈퇴는 정당한 방법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북한의 핵보유는 국제법과 규정을 위반한 게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틸러슨 장관은 이후 추가 발언을 요청해 “북한의 핵무기 추구는 국제법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자, 국제 비확산 체제에 대한 직접적인 도전이며,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심각한 위협”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이어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무기 추구를 비난한다”며, 절대로 핵을 보유한 북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하전략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2)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유한국당 장제원·김성태의 줄기찬 탄핵부역행각!...최순실과 박근혜의 누명탄핵에 뉘우침 없어 (0) | 2017.12.16 |
---|---|
●고르카 전 백악관 부보좌관 “미국은 북한 주민 아닌 정권 겨냥…도발하면 파괴할 것” (0) | 2017.12.16 |
●도널드 트럼프 “러시아, 북한 문제 돕지 않고 있어...중국 등 다른 나라들은 협력” (0) | 2017.12.16 |
WSJ, 이스라엘 수도 예루살렘 결정은 트럼프의 창조적 파괴 본능 (0) | 2017.12.16 |
▲[평양붕괴 임박] 조직적 지능적 저항을! 지금 권력은 공포정치를 연출중이다 (0) | 2017.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