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웨이브 경제 2010.11.18 (목)
급속한 고령화 시대에 떠오르는 소자본 창업 Item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사회와 초고령사회로 접근하고 있다. 최근 통계청의 “인구 고령화 추세”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8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비율이 14.3%로 고령사회를 지나, 2026년에 20.8%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 도표는 일본과 미국을 훨씬 앞서는 속도로 우리나라 인구가 급속히 고령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구 고령화 속도>
구 분 |
도 달 년 도 |
소 요 년 수 | |||
7% |
14% |
20% |
7%⇒ 14% |
14%⇒ 20% | |
한 국 |
2000 |
2018 |
2026 |
18 |
8 |
일 본 |
1970 |
1994 |
2006 |
24 |
12 |
미 국 |
1942 |
2014 |
2030 |
72 |
16 |
독 일 |
1932 |
1972 |
2010 |
40 |
38 |
프랑스 |
1864 |
1979 |
2018 |
115 |
39 |
(자료 : 일본국립사회보장 인구문제연구소)
► 전체 인구중 65세 이상 고령자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 - UN
이러한 노령화 추세를 배경으로, 노인과 부양가족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국민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운영되고 있는 제도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이다.
최근 발표한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자료에 의하면, 2010년 상반기 기준으로 고혈압, 대뇌혈관질환, 골관절염 등 3개 질환이 65세 이상 노인 전체 진료비 6조 9,276억원의 20.2%인 1조 4,026억을 점유했는데, 이는 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수급대상자로 규정하고 있는 노인성 질병(치매, 뇌혈관질환 등)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이 제도가 정부가 기대한 것처럼,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사회적 편익을 최대화하고 고용창출을 최대화해서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하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자 한다면, 보다 통합된 공급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이 제도는, 수급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전문가적 조언과 계획적인 제공 역할, 수급자 대신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관리해주는 전문 인력, 다양한 서비스가 쉽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장기요양제도는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특별현금급여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재가급여에는 수급자의 일상생활이나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복지용구 지원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한 기업이 관련 업계의 눈길을 끌고 있다. 복지용구에 관한 프랜차이즈 사업을 통하여, 수급자에게 필요한 서비스가 적시에 적절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레나의 배광수 대표는 요양보호사 교육원과 재가 노인요양센터를 운영한 경험을 바탕으로, 발상을 전환할 수 있었다. 현재의 대리점 유통방식이 아닌, 무점포 체인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간다는 계획이다. 이 회사는 이를 통해 500만원이라는 소규모 자본으로 창업 가능한 새로운 일자리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2010년 11월 18~20일까지 서울무역전시 컨벤션센터(SETEC)에서 열리는 소상공인 창업박람회에서 이 회사를 만날 수 있다.
'시사정보 큐레이션 > 국내외 사회변동外(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소기업 (0) | 2010.11.20 |
---|---|
'1인창조기업' 트위터 번개모임 (0) | 2010.11.20 |
자영업 시장 살려야 하는 이유 (0) | 2010.11.13 |
비지팅엔젤스, 고령화 시대 창업아이템으로 주목 (0) | 2010.11.13 |
고령화, 새시장 창출 등 긍정적 측면도 (0) | 2010.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