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정보 큐레이션/국내외 사회변동外(1)

고령화, 새시장 창출 등 긍정적 측면도

배셰태 2010. 11. 13. 22:06

<월례좌담회>“고령화, 새시장 창출 등 긍정적 측면도”

헤럴드경제 경제 2010.11.12 (금)

 

김용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고령화 현상을 부정적, 걱정스럽게만 보는 것이 문제”라며 “평균 수명 연장에 따른 새로운 사회의 변화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김 원장은 “고령화 사회에 따른 노동력 감소 등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때도 단순 노동력 부족 문제보다는 다차원적으로 접근하면서 인력의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며 “2050년이 되면 우리는 고령 인구가 38%를 넘어서면서 세계 1, 2등을 다투는 고령 국가인데 이는 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출산 부문의 정책이 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령화 사회에 따른 새로운 발전 가능성도 강조됐다.

 

김 원장은 “고령화 자체가 새로운 산업 상품시장을 창출하는데, 그간 국내적 수요가 충분치 않아 활성화가 안 된 상품시장이 열리면서 새로운 기회를 줄 것”이라며 “새로운 상품시장 개척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하고, 건강관리 산업이 굉장히 중요한 시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건강보험, 국민연금 정책에서 고령화에 대비하는 것이 과제로 지적됐다.

 

김 원장은 “지금 현재 보건의료와 연관된 지출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가계와 정부 부담이 커질 수 있어 건강보험 재정안정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국민연금 보험료를 올려나가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